•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의 요건 및 절차 -대법원 2010. 11. 11. 선고 2010두14718 판결을 중심으로- (A Comment on the Procedure and Requirement of Approval of Housing Construction Planning)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3.06
44P 미리보기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의 요건 및 절차 -대법원 2010. 11. 11. 선고 2010두14718 판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0호 / 473 ~ 516페이지
    · 저자명 : 이기형

    초록

    주택법 제16조 제4항 제1호는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의 요건으로서 “해당 주택건설사업 대지의 80%의 사용권원 확보”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해당 주택건설사업대지’의 개념을 부대 복리시설을 포함한 공동주택부지만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공동주택부지 주변의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까지 포함하는 개념인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볼 것인지에 관하여 견해가 대립한다. 또한 주택법 제17조는 위 사업계획 승인시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과정을 거치면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결정 등을 의제처리하고 있는데, 이른바 ‘인․허가 의제’의 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그 의제의 개념에 관하여 법률적 견해가 대립하고 있고, 나아가 대상판결의 경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업계획승인관청이 관계행정기관의 장과 의제협의를 할 경우, 주택건설사업 대지의 지역적 범위를 넘어서 지구단위계획결정을 의제처리 할 수 있는지 문제된다. 그리고 관계행정기관과 의제협의 할 때 그 의제협의에 구속력을 인정할 것인지 즉, 관계행정기관의 반대를 무릅쓰고 사업계획승인관청이 사업계획승인을 강행한 경우에도 의제의 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복합행정의 간소화 이른바 원스톱행정을 위하여 많은 법령에 인․허가의제 제도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인․허가 의제를 너무 안이하게 인정할 경우 관계행정청 및 이해관계인의 권익을 해치는 문제도 발생한다. 따라서 입법론으로는 독일의 계획확정절차와 같은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여, 복합행정의 간소화라는 입법취지와 다른 행정관청의 권한 및 제3자의 권익을 균형적으로 조정하는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Urban, City, Town Planning is the discipline of land use planning which deals with the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metropolitan regions, municipalities, and neighborhoods. On the other hand Urban Design is related to urban planning, but focuses on the physical design of places through place making. The complexity of urban design requires the balance and representation of multiple fields such as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engineering, ecology, local history and transport planning.
    The strategic urban planning including Housing Construction Planning over past decades have witnessed the metamorphosis of the role of the urban planner in the planning process. More people calling for democratic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es have played a huge role in allowing the public to make important decisions as part of the planning process. Community organizers and social workers are now very involved in planning from the grassroots level. Advocacy and pluralism in planning which acknowledged the political nature of planning and urged planners to acknowledge that their actions are not value-neutral and encouraged minority and under represented voices to be part of planning decisions.
    In this article I comment on the procedure and requirements of approval of housing construction planning based on the court case. Until now, it is unclear whether the subject land includes infra structure such as park and road or it refers only designated plot. Furthermore, the Housing Act consider the decision of plot and plan as licensing and construction consent only pass through the negotiation. However, there is opinion divided on this issue and administerial rules scattered over the statutes book. Thus, I propose some solution in this comment and most clear cut solution is being prepared legislative impr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