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형마트의 ‘1+1 행사 광고’와 소비자오인성 - 대법 2018. 7. 20. 선고 2017두59215 판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1+1 Advertisement’ of large scale retailer and ‘Misleading Consume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12
28P 미리보기
대형마트의 ‘1+1 행사 광고’와 소비자오인성 - 대법 2018. 7. 20. 선고 2017두59215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유통법연구 / 5권 / 2호 / 171 ~ 198페이지
    · 저자명 : 왕성민

    초록

    본 논문에서는 대법 2018. 7. 20. 선고 2017두59215 판결을 중심으로 이마트의 ‘1+1행사 광고’를 표시광고법 제3조의 거짓·과장 광고로 규율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1+1’의 언어적 정의는 하나의 상품을 구매할 경우 동일한 상품을 하나 더 제공한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당연히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을 기준으로 상품을 구입했을 때 하나를 더 갖게 된다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기대가 함축되어 있다. 소비자의 인식은 판매자가 상품을 묶어 ‘1+1’ 형태로 판매하기 직전에 종전 판매가격을 2배 가량 끌어올리는 기만적인 상황을 예견하는데 까지 나아갈 수 없다. ‘소비자의 합리적 기대’는 1+1 상품 구매로 경제적 이익을 취할 수 있다는 상식적인 판단에 기반한 것으로서 응당 보호가치가 있다고 볼 것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소비자가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없도록 고안된 1+1 광고는 이러한 합리적 기대와 신뢰를 무력화시킴으로서 소비자와 기업, 기업과 기업 간의 공정한 경쟁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게 만든다. 이것이 할인효과 없는 1+1 광고가 가진 소비자오인성과 공정거래저해성의 본질이다. 한편 대상 판결은 소비자에게 경제적 이익이 적게나마 있었다면 1+1 광고의 부당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대형마트를 찾는 일반소비자를 기준으로 보았을때 1+1 광고가 유발할 수 있는 오인 유발성을 간과한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일부 기업에서는 대상판결을 가이드라인으로 삼아 1+1광고를 남용할 개연성도 있는 바, 본 논문에서는 대법원 판례가 실기(失期)한 부분을 지적하면서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linguistic definition of ‘1+1’ means that if you buy a single product, you will get the same product one more. This implies a reasonable expectation from consumers that they will have one more thing when they purchase a product based on the price currently being traded. Consumers' perception cannot go as far as predicting a deceptive situation that a seller could approximately double the previous selling price just before it begins and sells products in the form of ‘1+1’. Consumer's reasonable expectations are based on common sense judgment that purchasing a 1+1 product can yield economic benefits, which may be considered to have a value for adequate protection. Thus, the ‘1+1’ ad, designed from the outset, disables it in a way that hides these reasonable expectations and trust, preventing consumers from forming a fair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business, the business and the business. This is the essence of fair trade degradation with 1+1 advertisements that have no discount effect. The target court clarified that such implicit situations should not be subject to the linguistic aspect of advertising and presentation by saying that they include “a line of indirect implications” in an ad. Meanwhile, the ruling did not acknowledge the unfairness of the 1+1 ad if consumers had little economic benefits. This is thought to have overlooked the potential for misleading ads based on the standard consumers of large discount stores. In the future, some companies are likely to abuse 1+1 advertisements using the subject judgment as a guideline, and this is what we want to point to in this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