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외국인 어머니를 둔 청소년의 이주배경을 중심으로 (Asian Migration Background and Psychosocial Adapta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Migration Background, Barriers or Resourc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9.09
27P 미리보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외국인 어머니를 둔 청소년의 이주배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인구학 / 42권 / 3호 / 55 ~ 81페이지
    · 저자명 : 차승은, 유정균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가족의 이주배경 (다문화가족 정체성과 이중언어 실천, 어머니 언어 구사능력)을 문화적 자원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주배경 특성이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지 그리고 이러한 이주배경 특성들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발달과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2015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에서 아시아국가 이주배경을 가진 어머니를 둔 청소년 자녀 1,335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이 연구에서 살펴본 다문화 배경 특성(다문화 가족의 정체성, 이중언어 실천수준, 어머니 나라 말의 활용수준)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문화 가족 정체성과 가족 내 이중언어 실천수준은 학교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주민 어머니 특성도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모 연령이 어릴수록, 모의 한국어 실력이 높을수록자존감이 높았지만, 어머니가 인식한 모국 언어 권유수준이 강할수록 청소년의 자존감을 낮추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주민 어머니의 한국 내 적응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청소년의 어머니 나라 말 활용수준은 다른 변수들이 모두 통제되었을 때, 자존감이나 학교적응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자본관점과문화부적응 관점을 적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어초록

    The study aims to analyze how does migration background characteristics (MBC) differ by the social-economical status (SES) of parent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ig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adapta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original data of the 2015 National Survey for Multicultural Families, we selected respondents of 1,335 adolescent whose mother had migrated from Asian countries, and we created the parent-adolescent matching data for the analysis. We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logit models,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higher SES status parents tend to encourage their children to use their migrated parent’s language at home, and children of high SES families show higher proficiency in their second language. Second, higher scores in family encouragement in the use of mother’s language, or higher scores of multicultural family identity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elf-esteem and better adaptation in school, even other factors were controlled. Third, the mother’s perception, rather than the adolescent’s perception of bilingual practice at hom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dolescent self-esteem. Fourth, when all other factors were controlled, adolescent’s bilingual proficienc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or school adaptation. In the discussion session, the cultural capital hypothesis and the cultural mismatch hypothesis were applied to understand the fin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