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유학에서 ‘극기복례(克己復禮)’ 해석 논쟁과 그 의미 ―하병체와 두유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A meaning of the debate on ‘Kejifuli(克己復禮)’ in the Contemporary Confucianis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2.02
30P 미리보기
현대유학에서 ‘극기복례(克己復禮)’ 해석 논쟁과 그 의미 ―하병체와 두유명의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65권 / 1 ~ 30페이지
    · 저자명 : 정종모

    초록

    본 논문은 1990년대 초반 중화권에서 전개된 ‘극기복례(克己復禮)’ 해석 논쟁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살피려는 시도이다. 이 논쟁은 역사학자 하병체(何炳棣)가 현대신유가 진영에 속하는 두유명(杜維明)의 극기복례 해석을 비판하면서 촉발되었다. 두유명은 수신(修身)과 자아완성의 각도에서 공자의 극기 개념을 이해한다. 반면에 하병체는 주체의 억압이나 통제의 의미가 농후한 금욕주의의 맥락에서 극기를 해석하고, 또한 복례 역시 전장제도로서의 주례(周禮) 회복이 핵심이라고 판단한다. 하병체의 비판에 대해 유술선(劉述先)이 두유명을 옹호하며 반론을 펼쳤으며, 훗날 두유명이 자신의 관점을 정리한 저술을 출간함으로써 논쟁은 일단락되었다.
    무엇보다 이 논쟁은 『논어』의 훈고학적 해석 문제를 넘어서 있다. 다시 말해, 유학의 핵심인 인(仁)과 예(禮)의 의미 및 이와 관련된 연구방법론을 둘러싸고 역사학자와 철학자의 시각이 충돌하고 있다. 이는 실증주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방법론의 충돌을 함축하는데, 특히 ‘홍콩대만 현대신유가’ 노선이 중시하는 창조적 해석학 방법론의 정당성 문제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술적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은 하병체의 비판에 대한 두유명과 유술선의 대응을 검토함으로써, 현대신유가 진영의 유학 이해와 연구방법론에 담긴 함축을 살피고, 이를 통해 최근 중화권에서 대두하고 있는 유가인학(儒家仁學) 연구의 배경과 맥락에 접근하는 실마리로 삼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bate on Kejifuli(克己復禮) in the 1990s and examine its philosophical meaning. The debate was sparked by historian He Bingdi(何炳棣) criticizing the interpretation of Contemporary Neo-Confucianist Tu Weiming(杜維明) on Kejifuli(克己復禮). Tu weiming explains Confucain kejifuli in terms of self-discipline and self-completion. On the other hand, He Bingdi understands keji(克己) in the context of asceticism, and believes that fuli(復禮) means the recovery of the ritual of Zhou Dynasty. Liu Shuxian(劉述先) refuted He Bingdi's criticism again in defense of Tu Weiming, and the debate ended when Tu Weiming published an article that summarized his perspective later. This debate is not just a difference in the Analects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it implies a conflict between historians and philosophers in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that is, a conflict between scientific methodology and hermeneutic methodology. In addition, this debate is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creative interpretations put forward by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u weiming's view of Kejifuli. And through this, I intend to make the foundation for studying the Confucian Doctrine of Ren(仁), which many scholars are paying attention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