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희롱 판단기준에 대한 판례 고찰- 대법원 2018. 4. 12. 선고 2017두74702 판결을 중심으로 - (Study on Precedents about Judgement Criteria of Sexual Harassmen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8.06
22P 미리보기
성희롱 판단기준에 대한 판례 고찰- 대법원 2018. 4. 12. 선고 2017두74702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찰대학 경찰대학
    · 수록지 정보 : 경찰학연구 / 18권 / 2호 / 127 ~ 148페이지
    · 저자명 : 전병주, 김건호, 곽현주

    초록

    최근 한국에서는 미투(#Me Too)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어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교 교수가 여학생들을 수차례 성희롱했다는 이유로 해임되었고, 이에 대해 교수가 불복하여 교원소청심사위원회를 상대로 해임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하였다. 이 사건에서 제1심 법원은 교수의 성희롱을 인정하여 해임처분이 정당하다고 판결하였으나, 항소심에서는 교수의 행위에 의해 일반적이고 평균적인 사람의 입장에서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꼈다고 보기 어렵고, 피해자들의 진술은 신빙성을 인정하기 곤란하다며 교수의 성희롱을 부정하고 해임처분을 취소하였다. 그러나 최근 대법원은 성희롱에 대한 전향적인 판단기준을 제시하며 성희롱을 인정하지 않은 원심판결을 파기환송 하였다. 대법원은 성희롱 관련 사건을 심리할 경우에 사건이 발생한 맥락에서 성차별 문제를 이해하고 양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도록 ‘성인지 감수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특히, 성희롱 사건 피해자 진술의 증명력을 판단할 때에는 ‘2차 피해’에 대한 불안감이나 두려움 등으로 인하여 피해자가 처하여 있는 특별한 사정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며, 어떠한 행위가 성희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우리 사회 전체의 일반적이고 평균적인 사람이 아니라, 피해자와 같은 처지에 있는 평균적인 사람의 입장에서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낄 수 있는 정도였는지를 기준으로 심리․판단하여야 한다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대법원 판결은 성희롱 소송의 심리와 증거판단의 법리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첫 판결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법원에서 판결한 성희롱 사건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쟁점 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성희롱 사건에서의 판단기준을 정확히 규명함으로써 교육계에서의 성희롱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여 범죄를 사전에 차단하는데 기여하며, 나아가 한국 사회에서 성희롱 등의 성범죄를 척결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Recently, Me Too campaign has been actively developed to flag up the social awareness on the sexual crimes in Korea. In this situation, the case was occurred that a professor in the university had been dismissed due to the claim of sexual harassment to the female students several times and he had appealed against the dismissal decision. In this case, Supreme Court suggested the prospective judgement criteria on the sexual harassment to remand after reversal of the original judgement. This judgement of Supreme Court empathized not to lost ‘gender sensitivity’ so as to understand the sexual discrimination issues and to realize the gender equality in case of court hearing related to the sexual harassment. Moreover, this judgement suggested the evident criteria on the court hearing and judgement based on the degree of sexual humiliation and hatred feeling in view of ordinary persons who are in the same situation with the victim when they decide whether the case is related to the sexual harassment. As such, this judgement of Supreme Court has the meaning to suggest the court hearing of sexual harassment and legal principles of evidence decision at the first time. Henc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se of Supreme Court on the professor’s sexual harassment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rom these, it is suggest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resolve the distrust throughout the education world and to support the students with excellent educational services under the safer environment upon supplementing the weakness of legal applications on the sexual harass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찰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