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섹슈얼리티와 검열- ‘도색(桃色)’과 ‘적색’, 두 가지 레드 문화의 식민지적 정체성 (Colonial Sexuality and Censorship - An Essay on Two Kinds of Red Culture in the Colonial Jos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3.12
29P 미리보기
식민지 섹슈얼리티와 검열- ‘도색(桃色)’과 ‘적색’, 두 가지 레드 문화의 식민지적 정체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4호 / 229 ~ 257페이지
    · 저자명 : 이혜령

    초록

    일본의 군대, 그리고 식민자들의 이주와 함께 추진된 식민화가 식민지 원주민에게 문화적 충격을 준 것 중 하나는 공창의 도입 등 새로운 형태의 성 산업의 이식과 확대였다. 매춘을 핵심으로 한 성 산업은 식민자들만 아니라 조선인들의 참여가 권장될 정도로 확대되었으며 그 심화의 과정은 생활세계를 변형시켰다. 그렇다고 인쇄매체나 음반, 공연미디어 등을 통한 식민지 원주민들의 섹슈얼리티의 표현이 장려된 것은 아니다. 섹슈얼리티의 표현은 사회주의 등 급진사상의 표현만큼이나 아니 그보다 더 억제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구상되었다. 이 글은 우선 식민지 섹슈얼리티 표현의 양상을 검열기록인 『조선출판경찰월보』와 『조선총독부금지단행본목록』을 통해 살피고자 했다.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표현에 대한 제한에 중점을 둔 풍속괴란 검열이 본격화된 것은 『조선출판경찰월보』가 발행될 시점인 1928년 말부터였으며, 1930년대 전반기 풍속괴란을 이유로 행정처분을 받은 출판물이 급증한다. 그 출판물의 95% 이상이 일본에서 들어온 출판물이었다. 이 시기는 소위 일본의 에로-그로-넌센스 문화가 식민지 조선에도 『별건곤』과 같은 매체를 통해 유입되었던 시기와 일치한다. 그런데 『신생활』, 『개벽』의 폐간이 이루어졌던 시기는 사회주의 운동이 급격히 지하조직을 매개한 대중운동으로 전격적으로 전화한 시기이기도 하다. 즉, 식민지에서 에로-그로 문화는 치안유지법 위반자가 급증하던 대중운동의 시대와도 동시대적이었던 것이다. 이는 맑스 보이가 에로-그로 문화의 세례를 통해 핑크보이로 전환하거나, 에로-그로 문화가 맑스 보이들의 전향의 표지일 수 없었던 식민지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치안방해에 의해 처분된 출판물이 압도적 우위를 보이는 식민지 검열의 추이는 식민지 조선인들은 반제국주의적 출판물의 생산자일 수는 있었어도 근대적 인쇄기술에 기반한 포르노그라피의 적극적 생산자는 아니었음을 말한다. 즉 사회주의자를 의미하는 ‘아카’(あか,赤)가 되는 것보다, 성적 쾌락의 탐닉을 의미하는 ‘핑크’, 모모이로(桃色)가 되는 것이, 아니 더 적확하게는 핑크의 삶을 그 자체로 의미화하고 정당화하는 표현과 서사의 창출은 더욱 어려웠다. 식민지에서 에로티즘은 불가능했던 것이다. 성적 표현은 민족주의적 대의나 식민지적 근대의 규범의 심판이나 징벌을 수반할 때만 서사화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유곽과 카페에서의 에로-그로의 생활을 성불능이란 메타포로 서사화한 이상이 동경(東京)의 거리에서 불령선인으로 체포되어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영어초록

    Colonization of Korea by Japanese imperialism was achieved through introduction of new prostitution industry as like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as well as through station of troops and setting of colonizers from Japan. More and more Koreans participated and were involved with the prostitution industry with colonization being aggravated. Moreove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ncouraged it. However, for the colonized Korean, expression of sexuality in the publication culture, as like literatures and visual arts, and in performance arts was suppressed more than that of thought as like socialism. This phenomenon can be called a paradox of colonial sexua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elation patterns of the violation of the public morals and of the public security as two standards in the censorship of publications under the imperial Japan in the colonial Korea,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 and the Banned Book Llist of the General government of Korea. In special, the standards of the public morals is in oder to forbid publishing and distributing the pornography. In the period from the late 1920s to the early 1930s, so called 'erotic-grotesque-nonsense' culture in Tokyo flew into the publication culture of the colonial Korea, as seen from the monthly magazine Byeolgungon. This shows also the demise of socialist publication culture by suppression, but doesn't mean the demise of socialist movement. In that times, mass movements as like students movement, red union movement encouraged by socialists and socialism reached their peak. In the colonial Korea, erotic-grotesque culture in the publication media didn't prove the transformation of the colonial Marx boys into Pink boys. Moreover, Yi Sang's works and his death shows that colonial intelligentsia couldn't become a pink bo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