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체 환경 변화에 따른 지상파 TV 콘텐츠 이용 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두 시점 간 비교 분석 (Study on the Usage of the Series Each Time Terrestrial TV Content in a Multi-Media Environment)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7.04
45P 미리보기
매체 환경 변화에 따른 지상파 TV 콘텐츠 이용 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두 시점 간 비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광고홍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 19권 / 2호 / 175 ~ 219페이지
    · 저자명 : 조정식, 서연경, 이정아

    초록

    과거에 비해 다양한 매체의 출현으로 매체 환경이 변화하면서 수용자들은 다양한 채널이나 플랫폼의 이용이 가능해졌다 . 이러한 환경에서 본 연구는 각각의 채널이나 매체 이용보다 플랫폼을통해 이용하는 콘텐츠 자체가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 과거 지상파 TV 본방송을 이용하던 수용자들이 본방송 이외 다양한 방법으로 매체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채널이나매체보다 지상파 TV 콘텐츠 자체의 노출과 이용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이에 따라콘텐츠의 노출과 이용을 수용자들의 실질적인 행동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TV 매체의 시청률이라는 실제 데이터의 추적을 통해 시간의 경과와 함께 TV 수상기 내에서 이루어지는 지상파 TV 콘텐츠의 소비 패턴을 살펴보았다 . 이를 위해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콘텐츠 이용 패턴을 비교하기위한 두 시점간 비교 분석과 , 장기적인 콘텐츠 이용 패턴을 세부적으로 알아보기위해 특정 시점이후 6개월간의 콘텐츠 이용을 분석했다 .
    첫째, 2004 년에 비해 2013년의 지상파 TV 본방송의 이용이 줄어든 반면 , CATV 의 이용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이전에 비해 수용자들의 TV 콘텐츠 이용이 더욱 장기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프로그램 유형에 따라서도 두 시점간 평균 시청률과 시청 점유율에 차이를 보이면서 이전보다 수용자들의 TV 콘텐츠 이용에 있어 시간적 제약이 줄어들었음을알 수 있었다 . 성별에 따라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 연령대별 지상파 TV 콘텐츠의 이용은 전체적으로 이전에 비해 모든 연령대에서 본방송 이용은 줄어들었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본방송에서의 이탈은 많았던 반면, CATV 채널을 통해 자신이 필요한 지상파TV 콘텐츠를 편의에 맞게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용자들의 장기적인 TV콘텐츠 이용 패턴을 보다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지상파TV와 CATV에서의 시청률과 점유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히 CATV에서의 재방송 시청률이 지상파 재방송 시청률보다 더 높게 나타나 시간이 경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콘텐츠가 더 많이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 유형별로도 콘텐츠 이용에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연령대별로는 전체적으로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본방송뿐 아니라 다양한 시기의 재방송의 시청률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나의 콘텐츠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장기적으로 소비되는 패턴, 그리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소비되는 패턴에 대한 동시 조사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의 장기간 소비에 초점을 두고 피플미터를 이용한 객관적 수치인 시청률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동일한 콘텐츠가 얼마나 오랫동안, 어떤 방식으로 소비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지상파 TV 콘텐츠의 영향력에 대한 재조명의 기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영어초록

    Today, as media environment changed, TV contents are available through the various channels and outlets by the advent Internet and CATV, and mobile phones. This study focuses on TV contents itself as it is available through multiple outlet channels and has become important rather than media channel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ch TV contents are exposed instead of focusing on specific media channels. To examine this, this study utilized the tracking of the actual data as audience ratings of the TV medium, how the use of the terrestrial TV content or has changed, substantial was calculated using the Rating values.
    We compared the use of terrestrial TV content of 2013 and 2004, where there are difference in the media, technology, and users. Average rating and share of terrestrial channel of 2013 decreased compared to 2004, but the average rating and share in the channel of the CATV increased. This shows users desired contents through the CATV channels due to less time constraints. Differences showed in genders, ages and genres of programs. Channel environment and media of 2013 is more complex than in 2004, which allows users to take advantage of terrestrial TV according to the needs and circumstances.
    Then, we tracked up to 6 months after the broadcast by audience rating of a particular program, which was broadcasted in May Month 2013.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audience rating was analyzed in time series method: the time of aired broadcast, up to one month after aired, up to 6 months after aired. Results of examination of the view depend on genre of programs, which shows the preference of viewers. The result suggests that developing loyalty is an important factor to take advantage of terrestrial programs.
    This study focused in each program to examine viewing rate movements. This study differentiates from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s previous studies were made through surveys, and depended on the memory of users.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TV receiver, how the use of re-broadcasting the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it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perform relighting influence itself content terrestrial TV. This may suggest that studying the context should occur during media planning. Also it may be the foundation on the research on usage of the various con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광고홍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