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쟁하는 두 왕조_조선 국왕의 개성 행행 의례와 ‘문명지치’의 약속 (Competition Between the Two Dynasties; King’s Touring to Gaeseong in Joseon Dynas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22.02
27P 미리보기
경쟁하는 두 왕조_조선 국왕의 개성 행행 의례와 ‘문명지치’의 약속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86호 / 115 ~ 141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이 글은 세종에서 영조까지 조선 국왕들의 개성 행행과 의례를 다룬다. 개성은 고려 역사의 본 무대였기에, 새 조선의 왕들은 개성에서 실패한 고려를 대신해 이 나라를 다스릴 자격과 비전을 보여주어야 했다. 세종은 태조와 신의왕후에 대 한 기념을 명분삼아 개성에 행차했다. 개성 지역인들이 왕의 행렬을 맞이하며 행 행의 정치적 의미를 선양했다. 세종 이후 왕들도 개성에 행차하여 새 조선을 표 방하는 의례를 추가로 실행했다. 세조는 세종대 대표적인 ‘생민을 위한 예제’인 양로연을 구도 개성 땅에서 거행했다. 성종은 개성 성균관을 찾아 공자가 가르친 治道에 따라 조선이 운영될 것임을 강조했다. 이 시기 개성 노인과 유생들은 ‘은 나라의 선비’, ‘구국의 유민’으로 호명되며, 새 조선 창업의 의의를 드높이는 의례 속에서 망국 유민의 표상이 되었다.
    연산군은 100년 동안 구도에서 쌓아 왔던 조선 왕조의 정당화의례와 그 의미 를 완전히 무너뜨릴 계획을 짰으나, 중종반정으로 실행하지 못했다. 연산군의 위 기 이후 중종은 다시 조선의 문명지치의 실상을 보여주고자 했다. 사냥이나 연희 등 문명지치 실천자의 이미지를 훼손하는 의례는 거의 사라졌지만, 마지막에 박 연폭포 나들이로 오점을 남겼다. 왕조가 ‘문명지치’와의 거리를 번번이 드러내는 동안, 개성 사람들은 고려 유민이라는 규정을 벗어나고 조선 문명의 실천자로 인 정받고자 했다. 명종대 개성 유생들은 송악신사를 불태워 입으로만 ‘문명지치’를 외치는 왕조 권력 심층부의 위선을 드러냈다.
    임진왜란 때 개성은 다시 파괴되었다. 망국 고려의 그림자는 조선에도 드리워 졌다. 다시 조선을 중흥해야 할 책임을 진 숙종과 영조는 태조의 구도에서 왕조정치의 초심을 되새겼다. 경덕궁과 목청전에서 개성이 태조가 창업할 때 큰 뜻 을 품었던 구도임을 환기시켰다. 고려 궁궐터에서는 나라를 유지하는 방법에 관 한 옛 성현의 교훈을 되새기며 발분의 노력을 다짐했다. 숙종과 영조는 조선전기 의 양로연으로 표현된 ‘생민의 정치에 대한 약속’을 한단계 발전시켰다. 왕이 직 접 민인들에게 지역의 병폐를 듣고, 더욱 절실한 민생대책을 제시하는 과정이 개 성에서 가장 번화한 남대문 광장에서 생생하게 공연되었다. 두 왕은 개성이라는 구도를 무대로 의례를 펼쳐, 조선 건국기의 초심을 되새기며 생민의 정치를 조선 땅에서 해나가서 만월대의 비극이 반복되지 않게 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약속했 다. 공연을 직접 본 것은 개성인들이었지만, 그 약속의 상대방은 조선 팔도의 백 성들이었다.

    영어초록

    The main focus of this article is on King’s touring to Gaeseong, the Capital of Go- ryeo, in Joseon Dynasty, Visiting Gaesong, King Sejong went to his ancestors’ graves and emphasized filial piety toward his ancestors. King Sejo, as well, performed a feast for the elderly to show that politics in Joseon, different from Goryeo, should take care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eongjong emphasized that Joseon would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methods taught by Confucius through the ritual of Sung- gyun-gwan in Gaesong. After the crisis of tyrant Yeonsan-gun, King Jungjong tried to show the will of the Joseon government to practice civilized rule. Rituals undermin- ing the image of a practitioner of civilized rule, such as hunting or recreational feasts that didn’t take into account people’s livelihoods, have almost disappeared. However, by having a banquet with his relatives and officials in Parkyeon Falls, King Jungjong left a stain on his visit. As Joseon’s new political culture was emphasized, the people of Gaesong also tried to be recognized as practitioners of Joseon civilization, leaving away from the negative view toward them, whom thought as sticking to old customs. The incident which Confucian scholars of Gaesong burned Songak Shrine symboli- cally shows this strong desire. King Sukjong and King Ye o n g j o ,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revival of Joseon in the 18th century, emphasized Gaesong as the place where King Taejo founded new dynasty. Two kings met people at Namdaemun in Gaesong and held an event to talk about pending issues in people’s livelihoods. Through this political event, two kings recalled the initial intentions of the founding period. And They promised to carry out politics for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so that the trag- edy of Manwol-dae would not be repeated. The targets of the promise were not only people of Gaesong, but also people throughout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