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唐詩意圖 비교 연구 -16-19세기 왕유, 두보 시의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ang’s Poem-based Painting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2
30P 미리보기
동아시아 唐詩意圖 비교 연구 -16-19세기 왕유, 두보 시의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34호 / 317 ~ 346페이지
    · 저자명 : 조인희

    초록

    본 논의는 16-19세기 동아시아 3국에서 동일한 화제로 그렸던 왕유시의도와 두보시의도비교를 통해 양상과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작품에 내재된 공통 인식과 표현의 독창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중국 한자 문화의 영향권에 있던 조선 후기와 에도시대는 시화일률이란 문예적 지향, 왕유와 두보 작품의 문학적 탁월성과 시가 지닌 회화성, 시인에 대한 역사적 평가 등에 긍정적 인식을 같이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왕유의 『망천집』의 일련의 시들과 「종남별업」,「종남산」 두보의 「南隣」,「秋興八首」,「飮中八仙歌」,「登高」,「春夜喜雨」 등의 詩句가 공통의 시의도 화제가 되었다.
    화제가 된 시의 내용은 은일자의 삶을 읊은 것, 산수자연의 경치나 사계절의 정서를 표현한 것, 중국 유명인의 故事를 표현한 것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화제는 산수 인물화의 형태로 화면에 표현되었다. 명청대 화가들은 화면 가득 경물을 배치하는 치밀한 필법으로 시 내용의 배경이 되는 산수 표현에 보다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 화가들의 보다 간략한 필선으로 시의를 표현하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 시의도에서 주목되는 것은 중국에서 전래된 『개자원화전』등 화보의 화면을 적극적으로 차용해 중국의 시의도와는 다른 화면을 보이고 있다. 또한 화제의 詩意 표현에 인물을 자세, 동작 등을 강조하며 산수표현보다 중시한 경향을 보인다. 에도시대 시의도의 경우 일부 漢學派를 중심으로 그려졌고 중국화보에 소개된 준법을 사용해 경물을 유기적으로 화면에 배치하고 있다. 명청대에는 조선후기나 에도시대에 비해 시의도가 화첩형태로 전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논의 결과 명청시대의 화가들은 시의도를 통해 宋代부터 이어진 詩畵一律의 예술적 지향을 이루려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의 화가들은 조선 치국의 이념이 된 성리학적 理想像과 自然觀을 바탕으로 시의도를 통한 詩畵一律이란 문예적 성취를 추구했다. 반면 에도시대 화가들에게 왕유 시의도와 두보시의도는 중국문화에 대한 선호의 대상으로 인지되며 시도되었다. 문인계급의 부재라는 사회적 특성은 당시의도의 제작을 적극화하는데 쉽지 않았고 시를 그린다는 형식적인 면을 자국화해 일본의 정형시인 하이쿠(俳句) 화면에 옮기는 하이가(俳畵)의 발달로 이어진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동아시아 3국에서 공통된 화제로 그린 왕유, 두보시의도 비교는 시의도가 발생국에서 발달되는 과정은 물론 주변의 동일 문화권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수용하는 지역의 사회 이념과 미적 취향을 담으며 변화하고 자국화되며 더 나아가 독자적 회화 영역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oem-based paintings of China(Ming dynasty & Qing dynasty), Korea(Joseon dynasty), and Japan(Edo dynasty) in the 16-19 centurie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se countries' paintings based on the same subjects like Wang Wei(699-759) and Tu Fu(712-770) lyrics. They seems to be sharing the literary aesthetics of painting and poetry are one and special respects on the excellent picturesqueness of Tu Fu and Wang Wei poems and their lives. Meanwhile it seems clear that each country had developed its idiosyncratic traits while they chose the same lyrics as subjects of their paintings. Chinese painters tried to achieve the aesthetic goal of painting and poetry are one continued from the Song Dynasty. Joseon’ painters had an orientation to stres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confucian philosophy called Sung Confucianism. In the Edo Dynasty of Japan, arts for the literati were less all the vogue with the political and cultural dominance of the Samurai class resulting in the premature in the poem-based painting genre. Rather the concern with literature developed into a blooming of oosume its ingenious poem style called Haiku. In conclusion the three countries of the East Asia developed their unique style of the poem-based paintings while sharing the similar lyrics from Wang Wei & Tu fu' po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