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 이론과 서남동의 한의 사제 이론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otalitarianism Theory of Hannah Arendt and Priest of Han Theory of Suh Namdo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 이론과 서남동의 한의 사제 이론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47호 / 135 ~ 164페이지
    · 저자명 : 이인미

    초록

    이 논문은 강력한 민중주의적 성격을 내재하고 있는 아렌트의 전체주의 이론과, 민중신학의 한의 사제 이론을 비교한다. 한의 사제 이론은 1979년 서남동이라는 민중신학자가 제출한 이론이다.
    이 논문은 먼저 전체주의 이론에서 악, 근본악, 그리고 “악의 평범성” 개념을 살핀다. 아울러 전체주의가 공동체를 파괴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이웃을 망각하도록 하며 이웃사랑을 방해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외톨이’와 ‘잉여’라는 감각을 집단적 선전선동에 공포스럽게 활용하는 전체주의 운동이 비전체주의 사회에서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음을 보이면서 그것을 경계한다.
    한편 서남동에 의해 주창된 한의 사제 이론은, 너무 약하여 공적인세계에서 아직 잘 들리지 않는 한맺힌 사람들의 소리를 증폭하여 들려주는 이들(“한의 사제”)의 출현을 촉구하는 이론이다. 전체주의이론에 비추어 평가해보면, “한의 사제”는 전체주의 운동이 ‘외톨이’ 와 ‘잉여’라는 감각을 악용하여 끝내 파괴해 들어가려고 하는 ‘공동체적 삶, 인간다운 삶’을 열심히 추구하는 사람들을 강조하고 있는이론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한국 사회는 다른 비전체주의 사회들과 마찬가지로 전체주의 운동이 일어날 가능성을 내포한 사회이다. 이 논문은, 아렌트의 전체주의 이론과 민중신학의 한의 사제 이론을 비교하면서 전체주의(운동 및체제)에 대한 경계심을 촉진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relevantly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riest of Han” by Suh Namdong, a Minjung theologian, especially relating to totalitarianism theory by Hannah Arendt, a political thinker. Arendt’s thought on the political has very strong populist character so that can be compared with Korean Minjung theological theories. This paper will compare two theories, i.e., Arendt’s theory of totalitarianism and Suh’s theory of priest of Han.
    According to Arendt, totalitarianism or totalitarian movement destroys the public realm, every communities, action, speech, and human life as political life. Arendt relates totalitarianism or totalitarian movement to the “ideal subjects of totalitarian rule,” those who do not only have a disease ‘loneliness’ but also convince themselves of ‘superfluity’ in their society. They mistrust of their own selves, their neighbors, and their community extremely.
    Totalitarianism or totalitarian movement could make them more apolitical and more evil. (the Banality of Evil) Meanwhile “priest of Han”(한, 恨, grudge or a very long sad complaint) is the political. Suh, one of the founders of Minjung theology of Korea, exclaimed that we (Christians) have to be the “priest of Han.” The “priest of Han” raises up the volume of the sound of the oppressed, the cursed, the lost, and outcasts etc.; to sum up, Minjung or Han-ridden people, e.g. the families of Sewol ferry victims. Truly the voice of Han-ridden people is pretty weak, low, vague, trifling, and powerless in the public realm. According to Suh, “priests of Han” are the people who try to keep communities alive by acting together with Han-ridden people to oppose a callous system, i.e., totalitarian system including totalitarian movement that makes people apolitical or evil totally.
    Nowadays Korean society, like other non-totalitarian societies, is a society embedded in the possibility of totalitarianism. This paper worries about the fact that Korean society might welcome totalitarian movement. That’s why the author compare Suh’s theory of the priest of Han to Arendt’s theory of totalitar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