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브랜디드 콘텐츠의 화면분석 연구 -브랜디드 동영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Screen Analysis of Domestic Branded Video)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8.05
9P 미리보기
국내 브랜디드 콘텐츠의 화면분석 연구 -브랜디드 동영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미디어학 / 21권 / 2호 / 117 ~ 125페이지
    · 저자명 : 백재훈

    초록

    디지털 생태계의 진입으로 기존 전통 미디어 중심의 환경이 온라인 및 모바일 위주로 재편되며 새로운 경쟁광고 플랫폼인 스마트 생태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에 광고의 형식과 매체가 달라지고 있으며 소비자와의 소통역량이 곧 기업의 경쟁력이 되고 있다. 변화한 시대에 기업은 광고가 아닌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를 통해 자발적인 공유의 욕구를 자극하고, 소비자 스스로 경험하며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했으며 광고는 영화, 드라마, 음악, 웹툰, 게임, 정보, 1인 미디어 등 소비자가 흥미를 가진 다양한 장르와 결합된 브랜디드 콘텐츠로 서비스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디드 콘텐츠의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현황분석을 통해 가장 활용도가 높은 동영상 화면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브랜디드 동영상 화면분석을 위해 화면의 구성요소인 쇼트와 앵글, 카메라 움직임으로 나누어 분류하였으며, 분석 결과 브랜디드 동영상은 미디엄 쇼트의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롱 쇼트와 클로즈업은 같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반면 익스트림 롱 쇼트는 사용이 미비하였는데 이는 모바일을 통한 동영상의 시청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익스트림 롱 쇼트가 주는 감흥이 모바일의 작은 화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은 이유로 보인다. 앵글의 분석에선 객관적이며 일반적인 눈높이 앵글이 절대적으로 선호되었다. 카메라 움직임은 고정 촬영을 포함하여 8개의 움직임으로 분류하였는데 수직수평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지미집의 움직임 활용이 많았으며 하나의 동영상에 2가지 종류의 카메라 움직임이 사용된 사례가 일반적 이였다. 이제 광고 패러다임은 일방적인 전달과정이 아닌 완성도 높은 유익한 콘텐츠로 즐겁게 소비되고 공유되기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 브랜디드 동영상 제작에 있어 시각적 차별화하는 방법으로 쇼트와 앵글을 고려하고, 감성적 크리에이티브 요소로서 다양한 카메라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실험하고 활용할 필요성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igital ecosystem, the paradigm of the advertising market has completely changed The existing traditional media-centered environment was organized into online and mobile, thus forming a smart ecosystem, which is a new competitive ads platform. Accordingly, the type of ads and the media have been changing, and the communication ability with consumers has become the very business competition. In the changing society, businesses began to stimulate a desire to share funny and useful information voluntarily rather than ads and manufacture the contents that they could experience and enjoy by themselves. Contents have become the branded ones combined with various genres that consumers are very interested in, for example movie, drama, music, webtune, game, information, and personal media.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ype of branded contents. As a result of our analysis, in shot classification, it was found that branded video, the reliance on medium shot was relatively high and long shot and close-up were used in the same frequency. On the other hand, extreme long shot was not used enough. This suggested that in situations when video can be watched generally through mobile device, extreme long shot is not effective for giving an impression in a small mobile screen. In angle analysis, Objective and general eye level angles were absolutely preferred. Camera movements were classified into 8 movements including fixed shooting, and many movements of Jimmy house that can freely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ere used. Now, advertising paradigm requires ads to be consumed and shared pleasantly as contents, rather than unilateral transfer of brand messages any longer. A new form of branded video that connects contents with brands in a novel way as a crossmedia strategy connected through various media in the changing digital ecosystem will continue to appear. To this end, in producing branded video, now it is the time to consider shot and angle as methods for visual differentiation and experiment and use various camera movements very actively as emotional creative el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미디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