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동아시아 시론의 변모 양상과 시조의 실제 (The Transition of East Asian Poetic Theories in the era of 18~19 Centuries and its practice in sijo tex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09.12
38P 미리보기
18~19세기 동아시아 시론의 변모 양상과 시조의 실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36호 / 29 ~ 66페이지
    · 저자명 : 이도흠

    초록

    봉건사회의 해체와 근대화는 별안간에 다가온 것이 아니다. 사회경제적 토대에서 이데올로기, 표상체계, 사회문화, 제도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이 변하면서 총체적으로 진행되었다. 18~19세기에 동아시아는 중세 봉건체제가 서서히 해체되면서 서양과 다른 異種의 근대가 싹이 트기 시작하였으며 시론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새로운 시론은 유가의 교화론적 시론을 부정하고 성정의 자유, 형식과 내용의 創新, 서민적 리얼리즘(realism), 상대주의적 세계관 등을 추구하거나 긍정하였다. 중국에서 公安派가 이를 선도하였다면, 한국에서는 實學派가 주도하고 中人이 가세하였으며, 일본에서는 江湖社와 混沌社의 漢詩人들이 先鞭을 잡았다. 조선에서 이런 시론은 고려 시대의 이규보 등 한국 전통의 시론을 계승한 바탕 아래 중국의 양명학과 性靈說을 수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기존의 보수적이고 유교적인 시론에서는 사랑과 성애, 욕망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것이 음란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나, 오히려 이것이 성정의 올바름을 진솔하게 추구한 것이라는 情之眞의 시론이 나타나고, 실제로 남녀의 섹스 장면을 노골적으로 묘사하거나 불륜을 권장하는 시조가 나타난다. 기존의 시론에서는 양반과 남성이 우월한 권력을 갖는 것을 당위로 간주하고 이를 善과 동일시하였으나 이를 부정하고 양반 관료층을 풍자하고 비판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下以風刺上의 시론이 나타나고, 양반과 남성을 신랄하게 풍자하는 시조, 기존의 교화론의 시론에서는 금기시 하는 구어, 속어, 방언을 사용하고 서민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표출하거나 주변의 일상에서 진리를 발견하는 시조가 향유된다. 기존의 시론에서는 성현의 말씀이나 典故를 따라 짓는 것이 좋은 시였으나 이는 표절이라 반박하며 개인이 자신의 상상력과 뜻을 담아 새로운 형식에 담아내는 것이 시의 정수라는 創新論이 나타나고 실제 새로운 형식을 실험하거나 전혀 새롭게 상상력을 발휘하고 창조적 은유나 일상생활과 노동에 밀접한 환유를 구사한 시조가 창작되었다. 우리가 21세기 오늘 몇몇 시조에서 차이와 이종의 근대성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당대 사회의 변화, 향유층의 근대를 향한 시적 실천과 상상력과 이런 시론이 어우러져 가능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era of 18~19 centuries, the rising East Asian poetic theory is changed the conservative one into the progressive one. The criticisms of poems that purses the truth of human nature stood up to the existing poetics. These criticisms affirmed the righteousness of human nature, but denied the existing order and ideology. The aesthetic sense of sŏ-min(the common people) substituted for that of yang-ban(the two upper classes in Chosŏn Dynasty) little by little. The sijo text directed from ‘culture of the upper body’ - the ideal, concept, the sacred, what should be, a priori, universality to ‘cul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the real, the common, being, experience, individuality; from classicism to realism; from a single ideology to various ideology. The leading creative and appreciate group was transferred from yang-ban to jung-in(the middle classes in Chosŏn Dynasty). The jung-in preferred to write the common originally with everyday language and Korean rather than to write the sacred conventionally with formal word and Chinese. The jung-in expressed the metonymy rather than metaphor. Therefore, there was a clear transition in sijo text in the era of 18~19 centuries. Those transition is a variety of modernity that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modern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