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의 결구방식과 조영계획 고찰 (A study on Construction method and Design of Three-story stone pagoda of Guwhangdong, Gyeongju)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04
39P 미리보기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의 결구방식과 조영계획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45호 / 503 ~ 541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현

    초록

    본 연구는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의 구조, 특히 기단부 중심의 결구방식과 함께 석탑의 조영계획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주지하다시피 692년의 구황동 삼층석탑은 682년의 감은사지 석탑에 비해 塔材의 수가 감소했고, 상층기단에 처음으로 귀틀식 결구를 시도, 상하층기단 모두 귀틀식이 나타나는 최초의 석탑이다. 그리고 이후 8세기 경주지역의 많은 석탑들이 이 결구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구황동 석탑에서는 8세기 석탑과 눈에 띠게 다른 점이 관찰되는데, 바로 기단부를 구성하는 塔材들의 불규칙한 크기와 面石에 模刻된 撑柱의 위치 및 하층기단의 治石 방식 등이다. 8세기 귀틀식 석탑들의 경우, 결구되는 탑재의 크기와 탱주의 위치 및 기단석의 치석 방식에서 정연한 모습을 보여 구황동 석탑과 차이를 보인다. 이를 검토해 본 결과, 감은사지 석탑의 결구방식을 토대로 그것을 변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하층기단을 구성하는 지대석, 면석, 갑석을 통돌로 다듬거나, 지대석은 別石, 면석과 갑석은 통돌로 처리하는 방식은 조영계획에 의해 요구되는 석재의 크기 즉, 석재의 수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하층기단의 구성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별석, 혹은 통돌로 처리하는 방식이 혼재하고 석재의 크기가 불규칙적으로 제작된 것 등을 통해 하층기단을 이루는 석재의 治石 순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구황동 석탑의 조영계획은 신라 초기의 석탑 설계방식에 해당되는데, 기존에 연구된 경주 원원사지 동서삼층석탑이나 무장사지 삼층석탑에 사용된 조영계획과 달랐다. 8세기 석탑 중 구황동 석탑과 동일한 조영계획으로 제작된 탑은 경주 천군동 동서탑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황동 석탑과 천군동 동서탑은 조영계획 뿐만 아니라 석탑의 규모, 하층기단의 탑재를 통돌로 치석하고자 했던 방식 및 양식 등에서도 매우 친연성을 보인다. 이는 두 사찰 및 석탑을 조성했던 장인 집단 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구황동 석탑이 왕실 발원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상기한다면 이를 토대로 천군동 동서탑 또한 왕실이 관여한 사찰일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thesis that contemplates on the structure of the 3-story stone pagoda of Guhwang-dong, Gyeongju, particularly with the stylobate-centered construction method design together with the design of the stone pagoda. As it is well-known, the 3-story stone pagoda of Guhwang-dong in 692 shows a decreased number of stone material compared to the stone pagoda in Gameun-sa site in 682, and this is the first stone pagoda that attempt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witeul method(a method that is put four 'ㄱ'-shaped stone at edge of stylobate and is put '一'-shaped stone between them) on the upper stylobate in display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all Gwiteul methods for both upper and lower stylobates. And, a significant number of stone pagodas in the Gyeongju area in the 8th century used this construction method to produce. However, the 3-story stone pagoda of Guhwang-dong displays conspicuously different points from the 8th century stone pagodas that are the irregular size of pagoda materials to comprise for the stylobate, location of the Taengju(a square pillar in relief on wall structure) reproduced on the Myeonsuk(wall structure), and method to grind the stone. For the case of the 8th century stone pagodas, there is orderly appearance in the size of constructed pagoda materials, position of the Taengju and method of grinding the stylobate stone. As a result of review on this point, it has been confirmed as the phenomenon appearing in the process of change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one pagoda of Gameun-sa site. Furthermore, the method to grind the Jidaesuk(a foundation stone for the pagoda to build on), Myeonsuk, Gapsuk(a flat stone laid on another stone) that comprised the lower stylobate into one stone, and the method to process the Jidaesuk into the another stone, and the Myeonsuk and Gapsuk into one stone have been considered as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upply of stone material, namely, the size of the stone materials required by the design. In addition, there exists the mixed method to partially process for th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lower stylobate into the another stone or one stone with they are produced in irregular sizes for the stone materials that the sequence of grinding stone for the materials that comprise the lower stylobate can be found out. And, the design of the stone pagoda of Guhwang-dong is applicable for the design method of the stone pagoda in early Silla Dynasty,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design used in the Dongseo 3-story Stone Pagoda of Wonwon-sa site or 3-story Stone Pagoda of Mujang-sa site in Gyeongju that had been studied earlier. From the 8th century stone pagodas, the pagodas produced with the same design to the stone pagoda of Guhwang-dong are confirmed with the Pagodas of Cheongun-dong, Gyeongju. In addition, the stone pagoda of Guhwang-dong and Pagodas of Cheongun- dong show extremely affinity with the size of stone pagoda and method and style to grind the pagoda materials in the lower stylobate into one stone as well as designing and this is an indication for close relativity between the master groups that built these two temples and stone pagodas. And in addition, if it is remembered that the stone pagoda of Guhwang-dong was produced by the request of the royal family, it may be possible to cautiously raise the possibility that Dongseo Pagoda of Cheongun-dong could be a temple with the involvement of the royal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