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라는 이름 아래 변혁의 상상력은 아직 유효한가 —백영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 대안체제의 길』(나남출판, 2022)— (Is the Transformative Imagination Still Applicable in East Asian Context? — A Review of The Genealogy and Future of East Asian Discourse: The Way to an Alternative System (Youngseo Baik, 2022, Nanam P)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3.06
29P 미리보기
동아시아라는 이름 아래 변혁의 상상력은 아직 유효한가 —백영서, 『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 대안체제의 길』(나남출판, 202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31호 / 219 ~ 247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동아시아 담론에는 여러 갈래가 존재하지만, 그 한국적 기원이란 1990년대 초반 소연방(USSR)의 해체 이후 전반적인 전망 부재 상황 속에서 ‘창비’ 그룹이 설계한 ‘동아시아대안체제론’이라 할수 있다.그렇다면, 왜,어째서 ‘동아시아’였을까.당시 동아시아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설득력 있는 개념이었다. 첫째, 정세론의 언어로서 이 단어는 반공의 울타리에 갇혀 있던 남한이 탈냉전을 맞이해 북방의 아시아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재규정할 수 있도록 이끈, 변혁의 전망을담은 어휘였다. 둘째, 동아시아는 냉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보다 오랜 규모의문명론의 차원에서도 각광받았다. 사회주의의 종말과 함께, 자본주의의 한정된 수명역시 예측되는 상황에서 두 체제 모두를 낳은 서구 근대성(modernity)의 대안으로서동아시아는 당시 가장 유력해 보였다. 그러나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동아시아론이처한 현재 국내 상황과 국제 정세는 양자 모두 녹록하지 않아 보인다. 백영서의 저작『동아시아 담론의 계보와 미래: 대안체제의 길』(2022)은 동아시아가 여전히 변혁의전망을 담을 수 있는 언어인지 스스로 묻고 답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저자는 식민지시기로거슬러올라가동아시아담론의저항성을역사적으로계보화하는한편(1부), 실재하는 동아시아 각국들과의 관계 설정에서 그동안 동안 자신이 핵심적인 방법론으로간주해온‘이중적주변’과‘복합국가’개념의향후전망을다시점검하고있다(2부). 그러나 동아시아 담론이 여전히 현실적으로 유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한의 국내 정세가 극적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현재 남한의 집권 세력은 남북 관계를폐색국면으로 아슬아슬하게몰고가며, ‘신냉전’에근접한국제 정세에다른어떤역내 국가보다 앞장서고 있다. 전망 부재의 상황 속에서, 언젠가 다가올 정세의 반전을 기다리는 동안, 동아시아 담론은 어떻게 스스로를 갱신해야 할까. 샹탈 무페의 말을 빌리자면, 현시점에서 변혁을 꿈꾸는 이론이라면 모두 겪을 수밖에 없는 “생태적자연과사회적자연모두의요구를접합하는생태적분기”를동아시아담론이고심해준비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re are various branches of East Asian discourse, but its Korean origin derives from the ‘East Asian Alternative System Theory’ developed by the Changbi group in the early 1990s, in response to the dislocation caused by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 theory was labeled ‘East Asian’ because at that time the concept of East Asia was doubly compelling. Firstly, it signaled the potential for change: South Korea ideologies had previously been confined by anti-communism, but in the post-Cold War era there was an opportunity for South Korea to redefine itself, independently of the Asian socialist countries to the north. Secondly, fresh attention was given to East Asia as the locus of an ancient civilization, with its own theoretical systems, long predating the Cold War. Socialism was in decline, and capitalism was perceived by some to be a temporary phenomenon. In this light, East Asia emerged as the most promising alternative to Western modernity, which had given rise to both systems. After the passage of 30 years, however, East Asian theory now seems hardly tenable, when seen in the context of the curr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Baek Young-seo’s work, The Genealogy and Future of East Asian Discourse (2022),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East Asia still holds the potential for transformation. The author delves into the colonial period, tracing the historical genealogy of East Asian discourse (Part 1). He also reevaluates the future prospects of the concepts of ‘double periphery’ and ‘composite state,’ which he considers key methodologies for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contemporary East Asian countries (Part 2). For East Asian discourse to remain realistically relevant, however, a dramatic change in South Korea’s domestic situation is necessary. The current ruling party in South Korea is forcing inter-Korean relations into a deadlock and is helping drive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owards a new Cold War. How should East Asian discourse reinvent itself while waiting and hoping for this situation to change? To paraphrase Chantal Mouffe: East Asian discourse should cautiously prepare for an ecological divergence that bridges the needs of both ecological nature and social nature. All theories envisioning transformation inevitably go through such a phase at this jun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