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해 회현동 D지구 옹관묘에 대하여 (The Study on the Burial Jar No.3 in the D-zone of Hweoheon-dong, Gimhae Yi)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6.06
21P 미리보기
김해 회현동 D지구 옹관묘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광장 / 18호 / 67 ~ 87페이지
    · 저자명 : 이양수

    초록

    김해패총으로 알려진 회현동 패총은 구야국・금관가야의 왕성인 봉황대 유적에 포함되어 있다. 그 중 D지구에서는 김해식 옹관으로 알려진 무덤이 확인되었다.
    D지구 옹관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❶ D지구에는 지석묘와 석관묘가 있었기 때문에 이전부터 묘역으로 인지되어왔다. ❷ 고김해만에 접한 D지구는 일본을 왕래하는 배들이 정박한 항구에 인접해 있었을 것이다. ❸ 3호묘에서출토된 동사는 문자기록과 관련 있는 도구로 생각되는데, 총 7~9점이 확인되었으며, 마모된 흔적으로 보아 적어도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2명 이상 다른 사람이 사용하던 것을 부장한 것이다. ❹ 3호묘에서 출토된 동검 중 비마연동검은 부장을 위해 만들어졌던 것이며 피장자를 위해 사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❺ 당시 김해에서 지배자는 묘제나 부장품으로 보아 송국리 문화와 점토대토기문화 그리고 야요이문화도 하나의 축을 이루고 있었다. ❻ D지구에서는 1호와3호 옹관묘 2기가 확인되었고 두 옹관이 약간의 시간차를 가지는 점에서 D지구에 묻힌 두 사람은 친족관계일 것이다.
    또한 옹관이 왜에서 이동한 것이라고 한다면 당시 변진구야국의 상위층과 혼인 등으로 연관된 여성으로 해석할수 있을 것이지만, ❶ 김해 흥동 1호 주거지를 비롯하여 김해식 옹관이 제작될 당시 김해에 왜인들의 존재를 상정할수 있고, ❷ 야요이 토기의 영향을 받은 토기들이 한반도 남부에서 자주 제작되는 점, ❸ 구산동 유적의 사례에서볼 수 있듯이 야요이 전・중기 전반까지는 절충형의 야요이계 토기가 많이 만들어지다 중기 중반으로 가면서 왜에서직접 제작된 반입 토기가 증가하는 점, ❹ 3호 옹관 출토 부장품의 형식이 일본 북부규슈의 부장품과 비교하면 한단계 늦은 점, ❺ D지구 출토 옹관의 형태가 일본과는 차이나는 기형이라는 점 등을 근거로 한다면 3호 옹관은 김해자체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높다.
    더욱이 묘제는 일본 북부규슈의 야요이 문화의 요소, 한국식동검과 동사는 한반도의 한국식동검문화의 요소, 관옥은 재지적인 청동기 문화적 요소라는 복합적인 성격이 주목된다. 이상을 근거로 하면 D지구에 묻힌 사람들은 한반도남부-변진구야국과 왜를 연결하는 존재였을 것이다. 동반하여 출토된 유물 중 동사와 관련지어 볼 때, 피장자는문자와 관련된 사람일 가능성이 높고, 상당한 지위에 있던 사람이었을 것이기 때문에 당시로서는 한반도 남부에서가장 중심지였던 봉황대 인근, 왜와 군현을 왕래하는 배들이 보이는 D지구에 무덤을 만들어 준 것으로 추정할 수있다.

    영어초록

    Hoehyeon-dong Shell Mound known as Gimhae Shell Mound is part of the Bonghwangdae(鳳凰臺) site which is a royal palace in the period from Guyaguk(狗耶國) to Gumgwanggaya(金官加耶). Gimhae-type burial jar was excavated in the D-zone of the shell mound site.
    Burial jar No. 3 belongs to the Yayoi culture and this type is not common in Korea.
    D-zone in which the burial jar is located includes dolmen and stone coffin of the Bronze age. Because of that, the area was recognized as a cemetery in the past.
    When focusing on the type of the grave, it is influenced by Yayoi of northern Kyushu(北部 九州) in Japan. However, Korean type bronze daggers and bronze burin(鍦) buried with the Jar No 3 are linked to the pottery with clay stripes culture(粘土帶土器文化) and the Korean type bronze dagger culture in the north.
    These complex features show dynamic aspects of rulers in Gimhae during the Qin-Han transition.
    In addition, the chronology was before 194 B.C. At the time, the King Jun(準王) of Gojoseon(古朝鮮) came to the south and Wiman(衛滿)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land of Gojoseon. Considering cultural aspect, bronze mirror with minute designs(多鈕細文鏡) was sprea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