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근대 선면화 연구 (A Study on the Modern East AsianFan Pain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1.04
38P 미리보기
동아시아 근대 선면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19권 / 19호 / 99 ~ 136페이지
    · 저자명 : 홍미림

    초록

    본 논문은 동아시아 삼국인 한국, 중국, 일본의 근대시기에 활동했던 주요 화가들에 의해 제작된 선면화를 소재별로 살펴보고 각 나라별 근대 선면화의 회화적 표현과 조형적 특징들을 연구한 것이다. 부채라는 공예품의 선면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은 동아시아 국가의 공통적인 문화였으며 직물과 종이의 발달로 인해 선면화는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약 1850년 전후부터 1945년 정도의 시기를 근대시기로 설정하여 한국, 중국, 일본의 근대 선면화에 대해 인물, 산수, 화조・화훼잡화, 어해・영모, 기타 양식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의 근대 선면화는 초기에는 조선말기 유행한 중국화풍을 이어오는 경향이 컸으며 다소 고루한 느낌을 주지만 이후 사생을 통한 실경산수와 한국적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이 많이 그려지면서 한국적인 특색을 보여주게 된다. 표현이나 재료의 과감한 변화와 다양한 시도보다는 수묵 위주의 작품에서 각자의 독창적 표현에 대해 깊이 탐구한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근대 선면화는 상업과 무역의 발달로 상해지역이 급부상하면서 화가들에 의해 선면화가 활발히 그려지는데 화사한 색채와 섬세한 묘사, 그리고 사의적이면서도 호방한 표현이 특징적이다. 또한 한국은 산수 선면화가 다수인 것에 반해 중국의 경우 화조, 화훼, 인물, 어해 등이 많이 그려졌다. 일본의 근대 선면화는 중국 영향의 남종문인화풍의 선면화와 채색 위주의 장식적인 선면화가 발달하였고 더불어 서양화풍과 일본 전통화가 융합된 신일본화풍의 선면화도 제작되었다. 일본은 한국이나 중국에 비해 다양한 화풍의 선면화가 제작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근대 시기 동아시아의 선면화는 서로의 영향과 근대 서구의 영향을 받아 꾸준히 발전해왔으며 예술의 새로운 서구 양식이 유입된 상황에서도 전통을 잃지 않으려 노력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쉽게도 현대에 들어서는 선면화의 가치가 점점 줄어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동아시아의 우수했던 선면화 문화를 재조명해봄으로써 현대 선면화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fan painting produced by major artists who were active in the modern tim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studies the pictorial expressions and formative features of modern fan painting in each country. It was a common culture of East Asian countries that began to paint on the fronts of a craft called a fan, and the development of textiles and paper led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fan painting. In this paper, the period from about 1850 to 1945 was set to the modern period, and the moderniza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was studied by classifying them into figure painting, flower and bird painting, landscape painting, plant and object painting, fish, crab and furry animal painting, and other styles painting.
    In the early days, modern Korean fan painting tended to continue the Chinese style at Joseon Dynasty's end, giving an outdated feeling. Later, many works that could feel the real landscape and Korean atmosphere through sketches are drawn, showing Korean characteristics. Rather than drastic changes in expressions or materials and various attempts, it can be seen that they have explored their own original expressions in Chinese ink-oriented works. Painters actively paint China's modern fan painting as the Shanghai region rises rapidly due to commerce and trade, featuring bright colors, delicate description, expressions of thought, and outspoken expressions. Also, while Korea has many landscape fan painting, China has many paintings of flowers, figures, and fish and crab. Modern Japanese fan painting developed a fan drawing of China's literature painting style influenced by China, a decorative fan painting focused on coloring, and a fan painting of the new Japanese style, which combines Western and Japanese traditional paintings. Japan can be seen to have produced fan painting of various styles compared to Korea and China. As such, the advancement of East Asian fan painting during the modern times has been steadily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each other and the influence of the modern West,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tried not to lose their traditions even in the face of an influx of new Western styles of art. Unfortunately, the value of fan painting is decreasing in modern times, but we want to help develop modern fan painting by reexamining the excellent fan painting culture in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