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漂流敍事 序說 ―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端緖로써 (An Introduction to Drifting Records of East Asi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12
26P 미리보기
동아시아 漂流敍事 序說 ―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端緖로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00호 / 295 ~ 320페이지
    · 저자명 : 정환국

    초록

    이 글은 동아시아 초기서사, 그 중에서도 불교 영험서사로 구축된 漂流談에 주목한 것이다. 일개인이 바다에서 조난을 당해 표류했다가 佛力의 구원을 받아 生還하는 패턴을 보이는 이야기群이다. 이런 소재가 한・중・일 초기서사에 공히 등장한 점에 착목하여 그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분야가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성격을 규명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전근대 동아시아 문화 권역으로써 대륙문화에 상응한 해양문화권을 설정하고, 향후 양자가 對稱性의 차원에서 균형 잡힌 동아시아 문화담론으로 수렴되기를 기대하면서 그에 관한 一端의 사례를 피력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記標인 표류서사를 본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前史로써 우선 초기 표류담에 주목한 것이다. 향후 이를 통해 구체적인 표류서사의 양상과 그 성격을 밝혀보고자 한다. 그런데 동아시아의 해양과 거기서 산생된 표류담은 흥미롭게도 불교의 東漸에 따른 불교영험담의 형태로 처음 등장한다. 바다에서 표류했다가 ‘觀世音’을 염송한 끝에 기적적으로 생환한 내용들이다. 표류 주체들에게는 대개 강과 바다가 생업의 공간이었던 바, 항상 이런 위난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를 불력이 개입하여 해결해 준다는 이들 이야기는 해양에서의 고난 과정보다는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어떻게 구원되는가 하는 쪽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런 사례가 처음 등장한 중국의 육조시대부터 唐代, 한국의 나려시대, 그리고 일본의 헤이안시대의 대상 작품들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동아시아 삼국의 이런 표류담은 대개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으나 조금씩 다른 점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표류담은 향후 불교적인 색채를 벗고 색다른 방식으로, 즉 표류 경험인의 체험과 욕망이 드러나는 쪽으로 변화하는 지점들이 포착되는데, 이는 앞으로 더 고구해야 할 사안이다. 아무튼 동아시아 해양문화라는 측면에서 표류서사를 앞으로 여타 다른 해양문화적 요소들과 결부시킬 수 있다면 좀 더 생산적인 논의가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drifting records of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s in early East Asian narratives. These records have a pattern of narrative where a person adrift on the sea is being saved by Buddhist power to return home al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of this type of material in early East Asian narratives. In addition, a special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Marine Culture could be indexed. A case is being discussed for East Asian Marine Culture to be symmetrically balanced with East Asian Continental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aspects of drift narratives. Interestingly, most East Asian Marine narratives appear in a form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where a person miraculously returns home alive by reciting 'Gwan-se-eum(觀世音)'. Many people then were endangered by the sea or the river because these places were where the people could make a living. However, these stories of people being saved by Buddhism do not always focus on 'where' people suffer, which is mostly the ocean, but 'how' the are being saved in a difficult situation. The case appeared in the Six Dynasties and followed. The narratives of China's Tang Dynasty, Korea's Silla-Goryeo Dynasty and Japan's Heian Period were chosen to be investigated. The narratives of th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showed similar form but some differences were noticed in the form of stories.
    The narratives of drifting in East Asia change their nature subsequently in order to show the experience or desire of the adrift person. This change needs to be researched later on. On the other hand, the drift narratives could be linked with other marine cultural elements for more productive discus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