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稗洛誦』의 전대 이야기 수용 양상 -전대 문헌 수재 「朴震憲」과 「楊士彦 모친」을 중심으로 (Acceptance of previous stories of 『Dongpaeraksong(東稗洛誦)』 - Focusing on 「Park Jinheon(朴震憲)」 and 「Yangsaeon's Mother(楊士彦 母親)」)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0.10
35P 미리보기
『東稗洛誦』의 전대 이야기 수용 양상 -전대 문헌 수재 「朴震憲」과 「楊士彦 모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57권 / 287 ~ 321페이지
    · 저자명 : 정출헌, 김준형

    초록

    이 글은 『동패락송』의 형성 과정에 대한 의문에서 비롯된다. 노명흠이 사대부들의 이야기판에 빈번하게 끼어 거기서 주고받은 이야기를 메모하였다는 洪樂受나 洪龍漢 등의 기록은 이 의문에 대한 전제로 작동한다. 그들이 주고받은 이야기가 무엇이고, 노명흠은 그 이야기를 어떻게 기록하였는가? 전자는 직접적인 자료가 발굴되지 않는 한 불가능한 시도다. 그러나 꼭 그런 것만도 아니다. 『동패락송』에 수록된 이야기에 주목하되, 그 이전에 향유되었던 각종 문헌[문집, 야사, 필기 등]에 실린 작품과 대비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厚齋集』에 수록된 「朴震憲」과 『撫松小說』에 수록된 「楊士彦 모친」 등은 『동패락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이 글은 두 작품이 어떻게 『동패락송』에 수용되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핀 것이다.
    「박진헌」은 전대 문헌에 수록된 작품이 구비전승과 문헌전승 두 측면 모두를 아우른 독특한 방식으로 향유되는 도정에서 생성된 작품임을 확인시켜주는 중요한 열쇠를 제공하고 있다. 이로써 보면 야담의 창조적 메커니즘이 ‘구연화 과정’에 있음에도 그것이 문헌의 재확산을 통한 전승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양사언 모친」은 전대 문헌을 수용하였지만, 문헌전승의 골간만 유지하고 내용의 상당 부분은 창작에 가깝다고 볼 만큼 작가로서의 면모가 강했음을 확인하였다. 「박진헌」이 편자에 가깝다면, 「양사언 모친」은 작가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로써 보면 『동패락송』은 초기부터 다양한 형태로 채록되고 정리되었음을 확인케 한다. 물론 이 글에서 다룬 작품이 두 작품뿐이어서, 거기서 얻은 결론을 두고 『동패락송』 전체로 확장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그렇지만 적어도 17세기말 이후 야담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실증적인 작업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ems from the ques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Dongpaeraksong』. Records such as Hong Rak-su(洪樂受) and Hong Yong-han(洪龍漢) that Noh Myung-heum frequently intervened in the storytelling-site of his grandfathers and took notes of the stories they exchanged there act as a premise for this question. What is the story they exchanged, and how did Noh Myung-Hum record the story? The former is an impossible attempt unless direct data are discovered. But it's not necessarily like that. One method is to pay attention to the stories contained in the 『Dongpaeraksong』, but to contrast them with the works published in various literatures[a collection of works, an unofficial history, pilgi, etc.] enjoyed before that time. 「Parkjinheon(朴震憲)」 in 『Hujaejip(厚齋集)』 and 「Yangsaeon's Mother」 in 『Musongsoseol(撫松小說)』 are works that directly influenced 『Dongpaeraksong』. This article examines empirically how the two works were accepted in the 『Dongpaeraksong』. 「Parkjinheon」 provides an important key to confirming that the works contain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were created in a unique way that was enjoyed in a unique way that encompassed both oral and documentary transmissions. From this, it was confirmed that even though the creative mechanism of Yadam is in the'narrative process', it is a transmission through the re-spread of literature. 「Yangsaeon's Mother」 has accepted previous literature, but it has been confirmed that his aspect as a writer was strong enough to maintain only the framework of the literature transmission and consider that much of the content is close to creation. If 「Parkjinheon」 is more like a compilation, 「Yangsaeon's Mother」 is more like a writer.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Dongpaeraksong』 has been recorded and organized in various forms from the beginning. Of course, there are only two other works in this article, so it is dangerous to extend the conclusions obtained thereto to the entire 『Dongpaeraksong』. However, it can be given a certain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empirical work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yadam at least after the end of th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