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신라기 州 治所城의 구조와 물자유통-全州 東固山城을 중심으로- (Structure and Supply Distribution of a Local Government Office in a Provinc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Focus on Donggosanseong Fortress(東固山城) in Jeonju(全州)-)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7.02
28P 미리보기
통일신라기 州 治所城의 구조와 물자유통-全州 東固山城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56호 / 53 ~ 80페이지
    · 저자명 : 서정석

    초록

    동고산성은 전북 전주시에 자리하고 있는 석성이다. 산성이 자리한 전주는 후백제의 도읍지였던 곳이다. 따라서 동고산성도 후백제의 도읍과 관련된 산성으로 이해되어 왔다. 마침 동고산성에 후백제의 왕궁이 있었다는 속설이 전해지고, 성내에서 정면 22칸(84.2m), 측면 4칸(14.1m)에 이르는 대형 건물지가 발굴조사 되면서 후백제의 왕성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런데 왕성이 해발 306m에 이르는 높은 山峰에 자리하고 있었다는 것도 납득이 어렵거니와 기록을 보면 오히려 古土城을 지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고산성의 성격을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동고산성은 입지, 규모, 축성법, 출토유물 등을 감안해 볼 때 통일신라기 全州의 治所城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성내에서는 창고로 판단되는 石壁建物이 발견되어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지금까지 동고산성에서는 11棟 이상의 건물이 발견되었는데, 당시의 창고로 추정된다. 이러한 창고는 통일신라기의 다른 산성에서도 발견된 바 있는데, 다른 郡縣의 치소성에서 발견된 것보다 압도적으로 크고, 수량도 훨씬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런 점에서 통일신라기의 州는 관할하의 군현에서 조세를 수취하여 일정 부분은 王都로 보내고, 나머지는 州에서 보관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Composed of stone, Donggosanseong Fortress(東固山城) is located in Jeonju(全州) City, Jeollabuk Province, Korea, which was the capital of the post Baekje Dynasty. Accordingly, the Donggosanseong Fortress has been understood as being related to the capital of the post Baekje Dynasty. Recently, a popular belief was prevalent that the royal palace of the post Baekje Dynasty is located inside the Donggosanseong Fortress. Moreover, a large building site with 22 parts between columns (84.2m) at the front and four parts between columns (14.1m) at the side was excavated in the Donggosanseong Fortress, which has subsequently been accepted as the royal palace of the post Baekje Dynasty.
    However, it is dubious that the royal palace would be located in a high mountaintop 306m above sea level. Also, ancient records indicate that the palace is actually the Gotoseong Fortress(古土城). Therefore, the Donggosanseong Fortress should be newly reassessed according to the excavated achievements.
    It could be said that Donggosanseong Fortress was a local government office in Jeonju City, considering its location, scale, construction method, and excavated artifacts. In fact, a building with stone walls,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a warehouse, was discovered in the fortress, and this finding supports such an opinion.
    Further, more than 11 buildings, assumed to be warehouses, have been discovered till date in the Donggosanseong Fortress. Additionally, overwhelmingly vast warehouses were discovered in the other fortres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Moreover, the Donggosanseong Fortress has more warehouses than other local government offices. In this respect, a province received taxes from counties and prefectur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sent them to the capital of the kingdom. The rest of the taxes were kept in the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