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수삼(趙秀三)의 「동리선생전(東里先生傳)」 읽기 (Reading of 「Dongniseonsaengjeon(東里先生傳)」 by Jo Susam(趙秀三))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9.03
31P 미리보기
조수삼(趙秀三)의 「동리선생전(東里先生傳)」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73호 / 331 ~ 361페이지
    · 저자명 : 정순희

    초록

    조수삼의 「동리선생전」에는 두 층위의 슬픔과 연민이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채 중층적으로 얽혀 있다. 독서의 과정에서 그것을 꼼꼼히 읽어내야 「동리선생전」 전체의 주제와 의미를 알 수 있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인물인 정윤을 통해 드러나는 슬픔과 연민이다. 정윤은 10대에 가사(家事) 주관하는 어머니를 잃고 가난해서 결혼도 하지 못한 채 ‘은거(隱居)’하는 아버지 정희교를 모신다. 그는 여성이 하는 모든 일을 직접 하며 아버지를 모시느라 아버지보다 더 늙어 보이고, 그 아버지가 80대 중반에 죽고 자신도 70대의 늙은이가 될 때까지 아버지의 삶을 지탱한다. 정윤의 삶은 ‘효(孝)’로 귀결되지만, 「동리선생전」은 효를 칭찬하기 위해 쓰이는 전(傳)들과는 다르다. 전의 중심인물인 정윤이 주도적이고 자발적으로 효를 실행한다기보다 아버지 정희교가 적극적으로 ‘은거’의 욕망을 실현해 가는 과정 속에서 정윤의 효가 파생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 60여 년의 세월 동안 아버지의 ‘은거’의 욕망을 실현해주기 위해 견딘 정윤의 고통 속에서 슬픔이 드러난다.
    둘째, 아버지 정희교를 통해 드러나는 슬픔과 연민이다. 정희교는 대대로 집안에 내려오는 천여 권의 책으로 ‘독서’하며 속리산 근처에서 ‘농사’ 지으며 ‘은거’하는 삶을 선택한다. 그런데 그가 독서하고 농사짓는 사이 고을 젊은이들에게 가르치는 글은 ‘논책(論策)’이고 ‘시부(詩賦)’이다. 논책과 시부는 조선시대 과거시험 가운데 대과(大科-文科)의 상급 시험 과목이고, 과거시험은 조선조 지식인이 출세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하고 빠른 제도이다. 그의 ‘독서’는 ‘은거’가 아니라 ‘은거’를 버리고 세상으로 통하기 위한 방식으로 보인다. 더구나 대과는 정희교가 속한 통역관의 계급에서는 치를 수 없는 시험이다. 그의 ‘은거’와 ‘독서는 참으로 모순된다. 정희교의 슬픔은 이렇듯 현실-세상에서 이룰 수 없는 꿈을 꾸는 ‘은거’에서 발생한다.

    영어초록

    Two layers sorrow is overlapped in The 「Dongniseonsaengjeon」 written by Jo Susam. First, The sorrow revealed by Jeong Yun, the main character. He lost mother, who manage household affairs in his teens. He was so poor that couldn't get married and even take care of Jeong Huigyo that his father living as hermit. Jeong Yun looks older than his father due to manage household affairs by himself. His father dies in the mid 80s and Jeong Yun support his father’s life until he became a 70-years oldman himself. The life of Jeong Yun is concluded as filial duty, But 「Dongniseonsaengjeon」 is different with other stories, which complimented the filial duty. Jeong Yun, the main character carry out filial duty not actively and voluntary by himself but derived from during the process that Jeong Huigyo, his father realize the desire of hermit. The sorrow come out from Jeong Yun’s pain, which ensure about 60-years to realize his father’s desire.
    Second, The sorrow revealed by Jeong Huigyo, the father. Jeonghyo has chosen to live like a hermit by reading with a thousand books, which a family heritage and farming near Songni Mountain. However he teaches young people, who live in the village the Nonchaek and the Sibu, while he read and farming. Gwageo test is most obvious and fast system to Joseon Intellectuals for succeed. furthermore Nonchaek and Sibu are the subjects of advanced course in Daegwa of Gwageo in Joseon dynasty. Thus, His reading appears to be a way to abandon life of hermit and go through to the world. Moreover, The Daegwa can not be taken to the class of interpreter like Jeong Huigyo. His life as a hermit and the reading are so contradictory. So, Jeong Huigyo’s grief occurs from his life as a hermit, which dreaming that couldn’t be achieve in the world.
    In 「Dongniseonsaengjeon」, these two layers sorrow became interlaced with multistructure not revealed with external. The overall theme and meaning of 「Dongniseonsaengjeon」 can be known by read off precisely the sorrow of two layers while rea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