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잉 결말 현상의 예: 역대기 저자의 오벳 에돔에 대한 주석(1역대 13-16장, 26장) (An Example of the Overkilling Phenomenon: The Chronicler’s Explication of the Case of Obed-Edo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6.09
31P 미리보기
과잉 결말 현상의 예: 역대기 저자의 오벳 에돔에 대한 주석(1역대 13-16장, 26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194호 / 2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선

    초록

    역대기 저자는 사무엘기와 열왕기에 이미 보도된 이스라엘의 역사를 자신의 고유한 관점에서 재편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주석의 기법들을 활용한다. 역대기 저자의 주석 기법들은 랍비들의 미드라쉬 주석의 선구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역대기 저자가 궤 이야기를 재진술할 때 오벳 에돔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주목하고, 그것이 미드라쉬 주석에서 나타나는 ‘과잉 결말’ 현상의 예가 됨을 밝히고자 한다. 역대기 저자는 다윗이 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기는 과정을 보도하는 2사무 6장을 재진술하면서 왜 다윗이 주님의 궤를 옮기려는 1차 시도가 실패한 후 궤를 ‘갓 사람 오벳 에돔’의 집에 옮겼는지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에돔의 종’을 의미하는 이름인 오벳 에돔은 이스라엘 사람의 이름이라고 보기는 힘들고, 그의 출신 또한 외국인임을 의심하게 한다. 왜 다윗은 주님의 궤를 그의 집에 옮겼는가? 역대기 저자는 1역대 13-16장에 걸쳐 궤 이야기를 보도하면서 다윗이 궤를 예루살렘에 옮기는 과정을 사무엘기보다 훨씬 더 자세하게 보도하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명의 오벳 에돔이 등장하며, 그들은 레위인 음악가이거나 레위인 문지기이다. 역대기 저자는 이 이야기에서 오벳 에돔을 여러 번 등장시킴으로써, 그 이름의 낯설음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그들을 레위인 문지기나 음악가로 소개하여 다윗이 궤를 갓 사람 오벳 에돔의 집에 옮긴 일이 궤를 잘못 다루거나 함부로 대한 일이 아님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역대기 저자의 이러한 노력은 오벳 에돔의 정체를 모호하게 하여 그가 누구인지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것이 바로 과잉 결말 현상의 대표적인 예로, 역대기 저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다양한 오벳 에돔 전승들을 한 이야기 안에 모두 포함시킴으로써 과잉 결말을 낳기는 하였지만, 적어도 다윗 임금의 선택을 변호하려는 그의 계획은 목적을 달성한 것처럼 보인다.

    영어초록

    The Chronicler utilized various exegetical skills when he re-wrote the history of Israel from his own perspective, based upon the books of Samuel and Kings. The Chronicler’s methods in which he dealt with his sources are considered as precursors of midrashic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The present writer pays a keen attention to how the Chronicler solved the embarrassing issue of Obed-Edom the Gittite when he rewrote the ark narrative of 2 Samuel 6, and tries to point out his exegetical skill that he used in 1 Chronicles 13-16 (including 1 Chronicles 26) as a percursor of the overkilling phenomenon which appears in midrashic interpretation. When the Chronicler describes the process of carrying the ark from Gibeon to Jerusalem, he seems to deal with a vexing question of why David moved the ark to the house of Obed-Edom the Gittite. It is very unlikely that any Israelite would have such a name, which means the slave of Edom. Moreover, Obed-Edom is reported as the Gittite who is probably a Philistine. Then, why did David let the ark be moved to Obed-Edom’s house? In the Chronicler’s much expanded ark narrative (1Chr 13-16) do several Obed-Edoms appear. One of them is a levitical musican, and another is a levitical gatekeeper. It seems that the Chronicler tried to eliminate the strangeness of the name of Obed-Edom by peppering it here and there in his ark narrative. The Chronicler goes further by describing all of them as levites to legitimize David’s order to move the ark to the house of Obed-Edom the Gittite. By putting together various sources of Obed-Edom into his ark narrative, the Chronicler managed successfully to legitimize David’s decision, but he also caused confusion to readers with multiple identities of Obed-Edom. This is a representative case of overkilling exege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