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네오물질적 데이터와 데이터 시각화의 물질성 - 뮌, 팀보이드, 레픽 아나돌의 작품을 중심으로 - (Data as Neomaterial and the Materiality of Artistic Data Visualization Production - Focusing on Works of Mioon, TeamVoid, and Refik Anadol -)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23.08
10P 미리보기
네오물질적 데이터와 데이터 시각화의 물질성 - 뮌, 팀보이드, 레픽 아나돌의 작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8권 / 3호 / 185 ~ 194페이지
    · 저자명 : 조성현, 목진요

    초록

    연구배경 빅 데이터/스마트 데이터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가 중요한 과제로 자리 잡았다. 비물질적인 것으로 분류되어왔던 데이터(data)의 물질성 혹은 물리적 현실이 자리 잡고 중첩되어 가는 경계선상에 서 있음을 인식하는 체계 전반의 재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연구방법 데이터 시각화 창작 행위를 세계(현실) 중첩에 대한 현상 중 하나로 인식하고 동시대 예술과 기술 결합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예술・사회적 의미 부여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론을 취한다. 첫째, 크리스티안 폴(Christiane Paul)이 제시한 네오물질성(neomateriality)이라는 용어, 그리고 영국의 아티스트 제임스 브리들(James Bridle)이 제안한 신미학(New Aesthetic)의 정립 배경과 그들이 주장하는 담론의 핵심을 이해한다. 둘째, 이어 데이터 시각화형식을 취하는 국내・외의 미디어 아티스트 작가 및 그룹(뮌, 팀보이드, 레픽 아나돌) 선정하여, 그들의 창작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네오물질로 존재하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과 전략을 살펴보고, 크리스티안 폴이 생성한 논의를 적용한다.
    연구결과 데이터의 물질성에 주목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중 국내 미디어 아티스트 그룹 뮌과 팀보이드, 해외 미디어 아티스트 레픽 아나돌을 분석하였고, 크리스티안 폴, 제임스 브리들의 논의를 통해 그들 작업의 당위성을 찾았다. 데이터 시각화 형식을 취하는 뮌의 작업 <아트 솔라리스>(2016-2019), 팀보이드의 작업 <Over the Air>(2018), <Log>(2020), 레픽 아나돌의 <서울 해몽>(2020-2021) 분석을 통해 창작자들이 데이터에 접근하고 시각화로 구현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 근거를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네오물질성의 조건에 부합하는 예술적 실천은 코드를 객체의 물질적 프레임워크로 전환함으로써 디지털 예술에서 예술작품의 시각적 결과는 코드와 수학적 표현으로부터 파생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창작자 및 창작 그룹들은 서로 다른 층위에 속한 데이터의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데이터 시각화는 사회의 함축된 맥락을 표출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론임과 동시에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에 기반한 생산과 소비의 분리와 일치를 반복하며, 생각, 행동, 그리고 사회 현상을 읽기를 시도한다. 본질적으로 세계에 대한 더 정확한 이해를 도움으로써 예술가들의 창작 행위는 데이터와 데이터 시각화의 본질에 닿기를 추구하는 행위로 규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1세기 현재, 오늘날의 동시대와 연결되고 중첩되어 우리 혹은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데이터와 연결된 예술 창작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era of big data/smart data, data visualization, which collects and analyzes data and presents it visually so that users can easily understand it, has become an vital task. There is a growing need to redefine data, which has been classified as immaterial, as neomaterial, and to recognize that it is on the borderline of a process where physical or material reality is being established and overlapped in earnest.
    Metho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artistic data visualization works as one of the phenomena of the overlap of virtuality and reality, as well as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convergence between art and technology, this paper takes the following approaches: Firstly, it will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formulation of the term neomateriality proposed by Christiane Paul and the New Aesthetic proposed by British artist James Bridle and the core of their discourse. Secondly, it will analyze works from Korean media artist collective Mioon, TeamVoid, and international artist Refik Anadol who work in the form of data visualization. It will study the way these works approach the data as neomaterial and apply the discourse generated by Christian Paul to their works.
    Result This research analyzes Korean media artists collective Mioon and TeamVoid and international media artist Refik Anadol that regarded datas in the form of neomaterials as art. It finds points of connection and validation in their work through James Bridle and Christian Paul’s concepts. Through the analysis of Mioon's Art Solaris (2016-2019), TeamVoid's Over the Air (2018) and Log (2020), and Refik Anadol's Seoul Hammong (2020), which took the form of data visualization, we examined and found evidence of the ways in which the artists approach and visualize data.
    Through this analysis, the research confirms that artistic practice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neomateriality transform code into the material framework of objects, thus in digital art, thevisual outcomes of artworks are derived from code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Conclusion By attempting to interpret different layers of data, the artist and artist collectives analyzed i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ata visualization is not only an essential methodology for expressing socially embedded contexts, but also an opportunity to bring about changes in behavior. Thus, it attempts to read thoughts, behaviors, and social phenomena, iterating on the separation and unificat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based on data. Essentially, by facilitating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world, artists' creative practice can be construed as an act that seeks to reach the essence of data and data visualization. In the current 21st century, these insights reveal the potential for artistic production connected to the data that dominates us and our society, connecting and overlapping with the contemporary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