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아이돌 온라인 콘서트의 팬 플랫폼 기반 상호작용 연구 (A Study on Fan Platform-based Interaction of Korean Idol Online Concert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21.09
28P 미리보기
한국 아이돌 온라인 콘서트의 팬 플랫폼 기반 상호작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64호 / 583 ~ 610페이지
    · 저자명 : 김초영

    초록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콘서트가전면 중단되자,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온라인 콘서트가 등장하였다. 그중에서도 아이돌 온라인 콘서트는 오프라인 콘서트를 계승하면서, 동시에 디지털 미디어가 가진 특징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포맷을 만들어냈다. 하여 본 논문에서는 SM엔터테인먼트의 ‘비욘드 라이브’와 방탄소년단의 <방방콘 The Live>를 중심으로 온라인 콘서트의 팬-아이돌 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콘서트에서 아이돌은 인터넷 네트워크 환경에 맞춰 퍼포먼스를 변이한다. 비욘드 라이브의 경우 AR 및 실시간 3D 그래픽을 기반으로 현실에 존재할 수 없는 존재를 무대에 소환하여 초월적 아우라를 형성한다. <방방콘 The Live>는 허구적 설정을 활용하여 아이돌과 팬이 대면하고 있는 듯한 환영을 유발하는데, 이때 팬은 메이크빌리브(make-believe)를 통해 텍스트의 틈을 채우면서 퍼포먼스에 몰입한다. 한편 팬은 팬 플랫폼을 통해 원격으로 아이돌과 상호작용함은 물론, 세계 각지에 있는 팬과 연결된다. 비욘드 라이브에서는 팬이 화상 카메라를 통해 아이돌이 위치한 공연장에 재현되는 내재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방방콘 The Live>에서는 멀티뷰를 통한 팬 플랫폼 기반 응원봉 연동, 실시간 지역별 팬·응원봉 집계, 팬 채팅 등과 같은 외재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온라인 콘서트에서 아이돌과 팬의 상호작용은 팬 플랫폼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이때 팬과 아이돌은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가상 공간에서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해당 관계의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온라인 콘서트의 포맷을 형성한다. 이로써 온라인 콘서트는 단순히 오프라인 콘서트를 온라인 콘서트에 이식한 결과물이 아니라 팬 플랫폼이라는 디지털 사물을 중심으로 재매개된 독자적인 콘텐츠로 거듭난다. 본 논문은 온라인 콘서트라는 선험적 사례를 통해 전 세계에 걸쳐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인간-비인간 복합체의 네트워크 구축 양상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As offline concerts in Korea were completely suspended due to COVID-19, online concerts appeared as an alternative. The idol online concert succeeded the offline concert and at the same time created its own forma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In this study, online concerts were analyz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fan-idol network of online concerts, focusing on SM Entertainment’s ‘Beyond Live’ and BTS’s ‘Bang Bang Con The Live’.
    In online concerts, idols transform their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Internet network environment. In the case of Beyond Live, AR and real-time 3D graphics are used to create a transcendent aura by realizing things that cannot exist in reality on the stage. <Bang Bang Con The Live> uses a fictional setting to create the illusion that idol and fan are facing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fan fills in the gaps in the text through make-believe and immerses themselves in the performance. Meanwhile, fans interact with idol remotely through the fan platform, as well as connect with fans around the world. In Beyond Live, Internal interaction that is realized in the concert hall where the idol is located through the web camera of the fan takes place. In Beyond Live, internal interaction takes place where the fan is recreated in the venue where the idol is located through a web camera. In <Bang Bang Con The Live>, external interactions such as interlocking fan platform-based light sticks, real-time regional fan and light stick counting, and fan chatting take place.
    In online concerts, the interaction between idols and fans is based on the fan platform. At this time, fans and idols can establish a relationship in a virtual space through a digital network, and an online concert format is created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As a result, online concerts are not simply the result of transferring offline concerts to online concerts, but a new type of content that is remediated centered on the digital object of the fan platfor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human-non-human collective network that occurs simultaneously around the world through an a priori case of an online conce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