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치는 무위(無爲)인가 유위(有爲)인가? - 정약용과 레뀌돈의 관점 비교 - (Is Politics non-active or active? A comparative Study on Thoughts of Jeong Yak Yong and Le Quy D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9.05
30P 미리보기
정치는 무위(無爲)인가 유위(有爲)인가? - 정약용과 레뀌돈의 관점 비교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47권 / 131 ~ 160페이지
    · 저자명 : 르엉 미 번

    초록

    본 논문은 무위정치(無爲政治)에 대한 정약용과 레뀌돈의 관점을 살펴본 것이다. 무위(혹은 유위有爲)정치라는 주제는 덕치(德治)나 위정자의 수신(修身), 교화(敎化), 왕도(王 道) 등과 같은 유교의 정치철학 속에 있는 근본적인 주제들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제이다.
    애초에 공자(孔子)가 순(舜)임금의 이상적 정치를 ‘무위이치’로 여겨서 유교의 정치사상사에서 유학자들은 이러한 확언을 논의하지 않고 그냥 무위는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해논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도 대답과 의견이 많이 있었다. 주희에 이르러서 무위정치란 덕으로 정치를 함으로써 위정자(임금)의 수덕(修德)의 작위가 보이지 않아서 무위라고 불리고, 그 덕이 궁극적으로 이르면 백성에게 하는 교화가 다른 수단이나 방법을 필요하지 않게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이라는 설명은 널리 시인되고 용납되었다. 비록 왕의 수신과 덕치에 강조하더라도 무위정치라는 이론에 있는 ‘아무것도 안 한’다는 뜻이 제어되지 못함으로 실제의 정치에 폐단을 일으키게 되었다. 그 상황에서 정약용은 무위정치에 대한 성리학과 주희의 관점을 직접 살펴보고 비판하였다. 그는 무위가 현학과청담의 폐단사술이지 성인의 진정한 이론이 아니라고 지적하였다. 공자가 말한 무위는인재 등용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뿐이고 이상적 정치가 유위의 정치 즉 위정자가 끊임없이 분발한 행동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베트남 성리학자인 레뀌돈은이상의 정치를 무위정치로 여기지만 무위정치에 대한 그의 해석은 유위정치에 대한 정약용의 해석과 같은 점이 많이 있었다. 즉 그는 위정자의 적극적인 행동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므로 레뀌돈이 이해한 무위는 이상적 정치가 이룰 수 있는 상태뿐이지 정치를 하기 위한 어느 방식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무위와 유위정치에 대한 정약용과 레뀌돈의 관점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사상적 사조의 속에 있더라도 두 학자 간의 유사점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유사점은 두 학자의 사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독특하고 진보한 점이라 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some main contents of Jeong Yak Yong and Le Quy Don’s thought on non-action politics (無爲政治). Non-action (or active (有爲) in contrary) politics is a topic closely connected to other key topics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such as rule-of-morality (德治), self-cultivation (修身), cultural transformation (敎化), the way of King (王道) etc. Right from the beginning of Confucianism, Confucius confirmed that Emperor Shun’s ideal politics was the non-action politics, therefore in the history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Confucian scholars did not consider that confirmation, they only discussed about what non-action politics was. However to that question, there were many different answers. From Zhu Xi downward, almost all Neo-Confucian scholars agreed that non-action politics was governing relying on the morality, in that situation the politician’s self-cultivation could not be seen, hence it was called ‘non-action’. And when that cultivation reached the extreme point, then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people could automatically occur without intervention of other treasures or methods. However, although they emphasized the aspect of the king’s self-cultivation and the rule-of-morality, the meaning of ‘do nothing’ in the ‘non-action politics’ cannot be perfectly rejected and it caused several evils in the real political life. In that situation, Jeong Yak Yong considered and criticized directly the thought of Neo-Confucianism and Zhu Xi on ‘non-action politics’. He thought that ‘non-action’ was nothing but the heretical thought of the Mysterious learning (玄學) and the Pure discussion (淸談), not the genuine thought of Confucian sages. The ‘non-action’ that Confucius said was only the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the engagement of talents in governing the country. The true politics must be active, meaning the unceasing activities of the politicians. In another respect, Le Quy Don – the Vietnamese Neo-Confucian scholar – although admitted that non-action politics was the ideal politics, as the orthodox Confucianism, but his interpretation of ‘non-action politics’ was similar to Jeong Yak Yong’s ‘active politics’, that is to say Le Quy Don affirmed the positive activities of the politicians and their influence to the real political lif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on-action’ in Le Quy Don’s thought seems only a state that the ideal politics can reach to, not some method to control the politics. Considering two scholars’ thought on ‘non-action politics’, we can see similarities of them,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y were from different schools of Confucianism and different countries.
    And those similarities can be seen as the distinguishing and progressive features of their thou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