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지관』에 대한 돈점지관설 연구- 『차제선문』 ․ 『마하지관』과 관련하여 - (A study on Xiao Zhiguan regarding Jianci and Yuandun Zhigua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03
25P 미리보기
『소지관』에 대한 돈점지관설 연구- 『차제선문』 ․ 『마하지관』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78호 / 89 ~ 113페이지
    · 저자명 : 우점구

    초록

    천태대사 지의(538-597)가 천태산은거시에 직접 찬술한 『소지관』은, 『차제선문』과 『마하지관』 사이에 자리 잡고 있으므로 원돈지관에 속한다고 하거나 반대로 점차지관에속한다는 설이 예로부터 지금껏 있어왔다. 그러나 『소지관』을 재고해 보면 점차지관에속한다고도 할 수 없고 원돈지관에 속한다고도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차제선문』의 본령인 사종선(四種禪)이 『소지관』에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고 반대로 『소지관』의 기본 선관인 좌선(坐禪)과 역연대경(歷緣對境)이『차제선문』에는 아예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소지관』과 『차제선문』이 비록 구성은 같더라도 둘 사이의 선관 방향은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전반적으로 『차제선문』과 그 구성이 유사하여 흔히 점차지관이라 불리는 『소지관』의 중심 선관인 좌선과 역연대경이, 원돈지관인 『마하지관』의 본령인 십경과 십승관법을 주관하는 조직으로 재구성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소지관』이 점차지관인 『차제선문』과 그 구성은 유사하더라도 오히려 『마하지관』과 그 선관 방향을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소지관』의 제10증과장에 보이는 원돈설은 『법화현의』나 『마하지관』에 보이는 원돈교상과 거의 같은 것으로서 점차선이라는 『소지관』의 일방적인 소속을 부정케 하는 결정적 요인이 된다. 따라서 『소지관』의 소속을 점차지관이라 하거나 원돈지관이라 하는후대에 일방적으로 가해진 시각은 그 의미가 상실된다. 단지 지의의 중기에 반야중관 계통의 좌선과 역연대경을 체계적으로 확립한 『소지관』은, 『차제선문』의 점차선에서 『마하지관』의 원돈관으로 옮겨가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점차와 원돈의 선관 방식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Xiao Zhiguan (小止觀, The Shorter Calming and Contemplation), written by Tiantai Zhiyi (天台智顗)(538-597) when he lived on Tiantai Mountain, has sparked a controversy about whether Xiao Zhiguan (小止觀) indicates yuandun zhiguan (圓頓止 觀, perfect and sudden cessation and contemplation) or jianci zhiguan (漸次止觀, gradual calming/concentration and contemplation). This is because Xiao Zhiguan (小止觀) lies between Cidi Chanmen (次第禪門, The Gradual Method of Meditation) and Mohe Zhiguan (摩訶止觀,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Considering Xiao Zhiguan (小止觀), however, we can realize that it does not belong to jianci zhiguan (漸次止觀) or yuandun zhiguan (圓頓止觀), for two reasons. First, in Xiao Zhiguan (小止觀), there is no mention of the four kinds of meditation (四種禪), which is the main property of Cidi Chanmen (次第禪門). Furthermore, “sitting meditation” (坐禪) and “responding to object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歷緣對境) are fundamental meditative contemplations (禪觀) in Xiao Zhiguan (小止觀), but they are not given in Cidi Chanmen (次第禪門). For those reasons, the direction of the meditative contemplation (禪觀) of Xiao Zhiguan (小止觀) i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Cidi Chanmen (次第禪門), although Xiao Zhiguan (小止觀) and Cidi Chanmen (次第禪門) are the same constructions. Second, in general, “sitting meditation” (坐禪) and “responding to object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歷緣對境) are both considered jianci zhiguan (漸次止 觀) as they are similar to Cidi Chanmen (次第禪門), and are restructured as an organizational system focused on “ten objects” (十境) and “ten methods of contemplation” (十乘觀法) in Mohe Zhiguan (摩訶止觀). Accordingly, we can presume that Xiao Zhiguan (小止觀) is the same direction as Mohe Zhiguan (摩訶止觀) rather than Cidi Chanmen (次第禪門), though the constructions of Xiao Zhiguan (小止觀) are similar to those of Cidi Chanmen (次第禪門). “Sitting meditation” (坐禪) and “responding to object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歷緣對境), of course, are not yuandun zhiguan (圓頓止觀), but they are properly used in yuandun zhiguan (圓頓止觀).
    Therefore, it would be wrong to suggest that Xiao Zhiguan (小止觀) is included in the context of jianci zhiguan (漸次止觀) or yuandun zhiguan (圓頓止觀). Xiao Zhiguan (小 止觀) indicates that “sitting meditation” (坐禪) and “responding to objects in accordance with conditions” (歷緣對境) we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both are based on Prajna and Madhyamaka-thought (般若中觀 思想), which is evolved in Zhiyi’s idea.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at Xiao Zhiguan (小止觀) includes ways of “gradual” (漸次) and “perfect and sudden” (圓頓) meditative contemplation (禪觀) since Xiao Zhiguan (小止觀) acts as a bridge between the “gradual meditation” (漸次坐) of Cidi Chanmen (次第禪門) and the “perfect and sudden contemplation” (圓頓觀) of Mohe Zhiguan (摩訶止觀).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