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버지니아주 거주 한국인과 미국인의 건강상태 인식도 및 짠맛 기호도 비교 (A Study on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s and Americans in Virginia, USA and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4.08
9P 미리보기
미국 버지니아주 거주 한국인과 미국인의 건강상태 인식도 및 짠맛 기호도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식품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27권 / 4호 / 716 ~ 724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옥

    초록

    본 연구는 미국 버지니아주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미국인을 대상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 정도와 짠맛 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인의 경우, 비만 정도는 정상(79.6%), 과체중(14.3%), 저체중(6.1%)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이다(57.1%), 좋다(34.7%) 순으로 나타났고, 나쁘다는 전혀 없었다. 한편, 미국인의 경우는 과체중이 약 45%, 정상체중이 약 35%, 비만이 약 12,5% 그리고 저체중은 약 7.5%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한국인의 경우, 20세 이상의 대학생의 경우, 정상체중이 약53%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Kim & Chang 2009), 미국인의경우는 미국 버지니아주에 거주하는 주민의 30% 이상이 과체중이라는 보고와 일치하였다(Lee CY 2008).
    평소 건강에 대한 인식도에 있어서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경우는 보통이다(57.1%), 건강이 좋다(34.7%), 잘 모르겠다(8.2%) 순으로 나타났지만, 미국인의 경우는 한국인에비해 건강에 대한 인식도에서 건강이 좋다는 응답이 약 55% 로 나타나,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에 비해 미국인이 상대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소 음식을 섭취할 때 건강에 대한 관심도에 있어서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경우는 보통이다(57.1%), 관심이 많다(36.7%), 관심이 적다(6.1%) 순으로 나타났지만, 미국인은 관심이 많다가 약 62.5%로 나타나, 한국인에 비해 평소 건강상태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소 음식 섭취 시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미국에 거주하는한국인과 미국인 모두 보통이다, 관심이 많다, 관심이 적다순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 17.0 program for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to July 2013, on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factors of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Virginia, USA(89 maleand female adults of 20 years of age or above). For th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obesity, a survey was used and thesubjects provided with their heights and weights. The researcher used this data to calculated their BMI and distinguishedthe degrees of obesity. For the BMI, the obesity diagnosis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was used for Koreans,and the WHO’s obesity diagnosis on adults were employed for Americans. First, regarding the Korean participants, the levelof obesity appeared in the order of normal (79.6%), overweight (14.3%), and underweight (6.1%). Also, the level ofperceptions of their health conditions appeared in the order of average (51.7%) and good (34.7%). No one perceived theirhealth to be in poor condition. Meanwhile, for the American participants, the order was as follows: overweight at about 45%,normal weight at about 35%, obesity at about 12.5%, and underweight at about 7.5%. In terms of the level of perceptionof health during ordinary times, about 55% of the Americ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are in good health. Therefore,the Americans were found to perceive their health to be in relatively better condition than the Koreans residing in the USA.
    Also, concerning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while eating food at ordinary times, the American participants were discoveredto be more interested (about 62.5%) than the Korean participants. The research on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wasconducted as a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choose an item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feeling. Regarding thepreference for salty taste, both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the USA responded as moderate. However, a higherproportion of Americans than Koreans responded to favor salty taste. Concerning the reason for their preference for saltytaste, Koreans responded with various reasons whereas Americans mostly responded that it is because they eat salty foodfrequently. For any changes in dietary behavior related to eating salty food, both Korean and American respondents thoughtthat the amount of their daily intake of salt is appropriate and that they consider taste as most important in selecting a snack.
    Based on the above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a need for actual improvement in the diet with regard to saltyfood along with diverse policies for promoting life with a low salt diet in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식품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