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梅花의 象徵과 梅花圖 (The symbolism of Flowering Plum and Ink Plum Pain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07.06
42P 미리보기
梅花의 象徵과 梅花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1권 / 40호 / 37 ~ 78페이지
    · 저자명 : 이선옥

    초록

    이 논문은 매화의 상징성이 그림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살펴본 것이다. 매화는 바라보는 입장에 따라 여러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유교적인 가치관에서는 덕을 갖춘 君子를 상징하였고, 군자와 연관된 유사한 덕목으로 은일, 고결, 충절, 기개 등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불교에서는 매화의 청정한 모습을 스님에 비유하기도 하였고, 매화꽃을 부처의 화신으로 보았다. 도교에서는 신선을 상징하는 꽃으로 여겼으며, 한편 붉은 홍매는 도가의 단약을 연상해서 장수를 상징하기도 하였다. 민간에서는 다산이나 겨울의 추위를 이기고 가장 먼저 피는 봄의 전령으로서 선구자를 상징하였으며, 봄바람을 타고 오는 美人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여러 관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애호되었던 매화는 그림에 있어서도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다. 墨梅의 여백을 중시한 간결한 구도에 단정한 꽃모양은 군자의 풍모를 표현한 듯하다. 부러진 줄기에 곧게 뻗은 가지는 역경을 이겨낸 절개와 기개를 표현한 것이다. 더구나 매화등걸에 눈 쌓인 雪梅, 줄기가 반쯤 부러진 折梅, 차가운 계곡에 가지를 담근 浸梅 등은 형태는 달라도 모두 선비들의 곧은 정신성을 표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세상이 바르지 않으면 벼슬을 하지 않았던 선비들의 은일정신은 중국 당나라 때의 맹호연이나 송나라 때의 은일시인 임포의 고사를 바탕으로 <尋梅圖>나 <梅花書屋圖>의 형태로 나타났다.
    불교적 관점에서 매화는 고결한 이미지가 선승의 청수한 모습으로 치환되면서 매화를 감상하는 선승의 모습이 그려지기도 하였고, 매화가지에 무수한 꽃송이를 그린 그림을 부처의 화신으로 보기도 하였다. 도교적인 관점에서는 백매의 맑고 깨끗한 모습을 신선의 자태에 비유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도가의 수련에 쓰이는 단약을 붉은 홍매와 연관지어 홍매도가 그려지기도 하였다.
    문인들에 의한 유불선의 관점 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매화를 즐겼으니, 다래다래 열리는 매실의 풍요로움은 사랑의 결실이나 다산, 즉 다남의 상징으로 여겨 민화의 <백동자도>에는 매화나무에 올라 노는 아이들이 묘사되었다. 봄을 알리는 의미의 매조도도 있을 뿐 아니라 매화의 아름다움을 미인에 비유하여 나부춘몽의 설화나 매화장의 전설이 그림으로 형상화되기도 하였다.
    이렇듯 매화는 하나의 식물이지만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른 상징성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상징성이 그림에서는 부러지고 구불거리는 줄기, 단아한 꽃모양으로 표현되거나 매화고사와 관련된 그림이 그려지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bout an observation of the way how the symbolism of flowering plum was appeared in the ink plum painting. Flowering plum is only a plant, bu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how you look at.
    It symbolized a gentleman with virtue under the sense of Confucianism. Additionally, it emblematized nobility, faithfulness, spirit and retirement which were related to gentleman’s cardinal virtue.
    In Buddhism, that was considered as Sakyamuni’s incarnation and the pure appearance of flowering plum used to be compared to a Buddhist priest. It was also a symbol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Zen Buddhism.
    In Taoism, it was regarded as a heavenly maid along with red plum symbolizing longevity in association with the Taoist hermit‘s red lead medicine.
    In the mundane world, it was considered as a messenger bringing spring in after the bitterly cold winter, which symbolized a pioneer or recovery and sometimes a beautiful woman coming in the spring wind.
    These various symbols about flowering plum were expressed in the painting as well. The elegant shape of the flower in a blank space illustrated in a concise frame was a reflection of gentleman’s feature that meant a great personality.
    The straight branch on the broken stem expressed a man of integrity and spirit who overcame difficulties. Besides, snow plum painting snow on flower plum, half-broken plum with broken stems and half-soaked plum with branches in a valley were all different kinds of upright gentleman‘s character.
    Gentlemen‘s hermit character that they did not want to serve for the government in a stormy times was represented in Maehwaseokdo(梅花書屋圖) with an ancient happening by Im Po(林逋) who was a hermit poet in Song dynasty in China.
    In the view of Buddhism, the image of Zen priest appreciating the flowering plum used to be painted by replacing the figure of the flower with Zen priest’s pure image.
    The abundant flowers on the branches in the painting would be named as Buddha’s incarnation. In the view of Taoism, there was inscription which compared clean and pure aspect of white plum to a heavenly maid’s beautiful figure. On the other hand, the red lead medicine which was used for training a Taoism priest would be connected with red plum.
    The folk as well as gentlemen used to enjoy flowering plum. The richness of an abundant plum was often painted in folk painting, symbolizing the fulfillment of love and prolificacy, especially as bearing many sons. In addition, the beauty of flowering plum was used in a figurative sense that a narrative, Nabu‘s empty dream and a tradition, flower plum decoration was appeared in a pa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