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샤마타圖(Zhi gnas dpe ris)와 道次第(Lam rim)의 관계에 대한 검토 (A Study on Relationship of Zhi gnas dpe ris and Lam rim)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0.02
21P 미리보기
샤마타圖(Zhi gnas dpe ris)와 道次第(Lam rim)의 관계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32호 / 65 ~ 85페이지
    · 저자명 : 차상엽

    초록

    본고는 티벳의 샤마타圖와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난 道次第(Lam rim)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티벳의 샤마타圖는 비빠샤나(觀)의 전제조건인 샤마타(止) 수행체계 중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는 九種心住의 체계를 묘사한 것이며, 그 샤마타圖의 문헌전거로는 쫑카빠의 『보리도차제대론』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카지야마 유이찌는 청변의 『중관심론』등에 의거해서 샤마타圖의 인도 기원설을 주장하였지만, 문헌전거와 샤마타圖의 내용적인 측면을 고려해볼 때 중국의 목우도가 티벳의 샤마타圖에 영향을 끼쳤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샤마타圖의 도안에 기재된 티벳어 설명에 의거할 때, 코끼리의 검은색이 마음의 가라앉음(bying ba, 沈沒), 원숭이가 마음의 散亂, 원숭이의 검은 색이 마음의 들뜸(rgod pa, 掉擧)을 상징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코끼리의 검은색을 무기력(惛沈), 원숭이를 들뜸(掉擧)으로 이해한 카지야마의 분석이 오류라는 점을 또한 알 수 있다. 그리고 가라앉음(沈沒)과 무기력(惛沈)을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한 카지야마의 분석은 쫑카빠의 샤마타 수행과 관련된 논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잘못된 이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미마끼 카쯔미가 지적한 五鈷에 해당되는 지물이 리본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과일과 심벌즈, 그리고 향로와 거울 등도 포함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적인 수행체계를 묘사한 『보리도차제대론』의 道次第가 샤마타圖의 직접적인 모티브가 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Most meditative systems of Buddhism are represented as 'calm abiding' (zhi gnas, śamatha, zhǐ 止) and 'insight' (lhag mthong, vipaśyanā, guān觀). In Tibetan Buddhism, śamatha meditation practices are, in particular, illustrated by a painting known as Zhi gnas dpe ris, which introduces meditator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editation. Zhi gnas dpe ris symbolizes the progression of śamatha meditation stages, and does so in a series of pictures showing a monk taming an elephant and a monkey. The Tibetan Zhi gnas dpe ris is somewhat similar to the well-known ten Ox-Herding Pictures (Shíniútú 十牛圖) of East Asian Buddhism. The ten Ox-Herding Pictures that originated from China may have been an influence for the Tibetan Zhi gnas dpe ris. However, the Zhi gnas dpe ris differs from the ten Ox-Herding pictures,because the latter illustrate not the stages of śamatha meditation practice but rather the stages of enlightenment in Zen Buddhism, including both concentration (ting nge 'dzin, samādhi, dìng 定) and wisdom (śes rab, prajñā, huì 慧).
    Concerning the doctrinal background of Zhi gnas dpe ris, the motif is connected with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sems gnas dgu, navākārācittasthiti, jiǔzhǒng xīnzhù 九種心住), i.e., consecutive methods for settling the mind in meditation. In Indian Buddhist literature, the earliest textual source for the explanation on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is the Śrāvakabhūmi (Nyan thos kyi sa, Shēngwén dì 聲聞地) from within the Yogācārabhūmi (Rnal 'byor spyod pa'i sa, Yúqié shī dì lùn 瑜伽師地論). The Śrāvakabhūmi was instrument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ian meditative tradition, and became very influential for the Yogācāra literature, such as the explanations on śamatha found in the Madhyāntavibhāgabhāsya (Dbus dang mtha' rnam par 'byed pa'i 'grel pa,Zhōng biān fēnbié lùn中邊分別論) by Vasubandhu and Kamalaśīla's Bhāvanākrama (Sgom pa'i rim pa, Xiūxí cìdì 修習次第).
    In Tibetan literature, these Indian sources and their doctrines were adopted in many indigenous works on meditation, such as Tsong kha pa's Lam rim chen m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