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상심시도’에 대한 종밀의 비판에 대한 비판 -『강서마조도일선사어록』을 중심으로 (A Critical Contemplation on the Criticism of Zongmi regarding the Ordinary Mind as the Way 平常心是道 -Focusing on the ‘Mazu yulu 馬祖語錄’)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4.12
19P 미리보기
‘평상심시도’에 대한 종밀의 비판에 대한 비판 -『강서마조도일선사어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1권 / 197 ~ 215페이지
    · 저자명 : 김형록

    초록

    오늘날까지 널리 알려진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란 말은 홍주 지역에서 활동한 마조(709-788)계열을 상징하는 사상적 언표이다. 이 용어는 ‘평상의 마음이 그대로 진리[道]’인 까닭에 진실한 도를 일상의 삶을 떠나서 다른 곳에서 찾지 말라는 긍정적인 메시지가 담겨있다. 그러나 평상의 마음이 도라면 번뇌로 가득 찬 세속적인 삶이 몽땅 진리가 되는 모순이 있다고 비판을 한다. 이런 비판적 입장은 종밀(780-841)에게서 강력하게 나타나고, 나중에 송나라 주희(1130-1200)의 선불교 비판에도 연결되고, 또한 고려말 조선 초기의 유학자들의 불교비판의 핵심된 논리가 된 부분이다. 본고는 이런 맥락에서 ‘평상심시도란 어떤 의미인가?’, 그리고 ‘종밀의 비판은 정당한가?’ 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진리관, 실천론, 윤리적 관점에서 종밀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영어초록

    The phrase ‘Ordinary Mind as the Way’ 平常心是道 (pingchangxin shi dao), which is still well known, is an ideological expression symbolizing the Mazu 馬祖 (709-788) School, which had been active in the Hongzhou 洪州 area of China. This phrase means that ‘the mind of everyday living is dao 道 (truth) as it is;’ therefore, it contains the positive message of telling people to not to try and find the dao outside of everyday life. However, there is a criticism that the phrase has a contradiction because if the mind of everyday living is dao, the secular life full of agony becomes dao as a whole.
    Such critical views have been espoused by Zongmi 宗密 (780-841), and can also be found in the criticism on Zen Buddhism by Zhuxi 朱熹 (1130-1200) of Song 宋. This view also became a core logic in the criticism of Buddhism by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is a critical contemplation on Zongmi's critique by exploring what the meaning of ‘pingchangxin shi da’ is and critically evaluating whether Zongmi’s critique is valid or n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