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통의 연대적 공감과 애도를 위한 기억과 망각의 서사 – 배삼식 희곡 『먼 데서 오는 여자』를 중심으로 (Narratives of Memory and Oblivion for the Solidarity-Sympathy of Pain and Public Mourning — With a focus on a play by Bae Sam-shik, A Lady Coming From Afar)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6
36P 미리보기
고통의 연대적 공감과 애도를 위한 기억과 망각의 서사 – 배삼식 희곡 『먼 데서 오는 여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학 / 113호 / 195 ~ 230페이지
    · 저자명 : 최정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operation methods of memory-mediated narratives and "affect" generated in the process with a focus on "narratives of memory and oblivion" in A Lady Coming From Afar, a play by Baek Sam-shik, thus tracing a process toward "narratives of mourning." This work shows "places of life" that literature is supposed to hold in a society of a series of disasters, "solidarity of pain and memory" through literature, and possibilities of literary condolence. How have the pain and memories of others left "after" a disaster been treated in our society? Why are disasters repeated in our society? A Lady Coming From Afar presents a "painful journey of memories" and "narrative of restoration" to search and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from very "far." "Narratives of restoration" through memories make the central group of narratives throughout the work and work as the most important dramatic device to request for "solidarity-sympathy for pain" and "public mourning" that the writer tries to realize ultimately.
    Plays help to share the same "pain spots" with the contemporary audience and induce sympathy and understanding for the life and pain of others. They help to realize in a sensible way that we are eventually connected to things that seem "far" and "involved" in the pain of others and thus form a "community of grief and pain." We can awaken the scars that are being forgotten without healing by sharing and reflecting on the grief that has not been mourned together, thus restoring "what is human" that we have lost. In this way, we can also continue (im)possible condolence. Bae creates and realizes such "places of life" in his A Lady Coming From Afar.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operation methods of memory-mediated narratives and "affect" generated in the process with a focus on "narratives of memory and oblivion" in A Lady Coming From Afar, a play by Baek Sam-shik, thus tracing a process toward "narratives of mourning." This work shows "places of life" that literature is supposed to hold in a society of a series of disasters, "solidarity of pain and memory" through literature, and possibilities of literary condolence. How have the pain and memories of others left "after" a disaster been treated in our society? Why are disasters repeated in our society? A Lady Coming From Afar presents a "painful journey of memories" and "narrative of restoration" to search and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from very "far." "Narratives of restoration" through memories make the central group of narratives throughout the work and work as the most important dramatic device to request for "solidarity-sympathy for pain" and "public mourning" that the writer tries to realize ultimately.
    Plays help to share the same "pain spots" with the contemporary audience and induce sympathy and understanding for the life and pain of others. They help to realize in a sensible way that we are eventually connected to things that seem "far" and "involved" in the pain of others and thus form a "community of grief and pain." We can awaken the scars that are being forgotten without healing by sharing and reflecting on the grief that has not been mourned together, thus restoring "what is human" that we have lost. In this way, we can also continue (im)possible condolence. Bae creates and realizes such "places of life" in his A Lady Coming From Af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