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에 나타난 옛이야기의 힘과 리미널리티 공간 (The Power of Old Stories and Liminality in Long Novel When You Trap a Tiger)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03
23P 미리보기
소설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에 나타난 옛이야기의 힘과 리미널리티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문학비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문학비교연구 / 78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우정인

    초록

    본고는 태 켈러의 장편소설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을 통해 할머니로부터 전해들은 옛 이야기가 과도(過渡)공간을 통해 새로운 인격체로 성장해 가는 매개가 되는 것을 확인하 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옛이야기는 신화, 설화, 민담과 같이 동일한 구조 를 가지고 인간 무의식에 응축된 힘을 발휘한다. 또한 환상을 통해 나타나는 상징적 동물 은 인간 무의식에서 또 다른 모습으로 표출되어 나타나고,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이며 생 존해 왔던 인류의 집단적 무의식과도 연결된다. 특히 한국의 전통을 가지고 이민자의 삶 을 사는 이들에게 나타나는 상징적 표상은 하나의 의미가 아닌 다층적 의미를 가진다.
    ‘조용한 아시아 여자애’라는 의미로 ‘조아여(Jo-a-yeo)’라는 별명을 가진 주인공 릴리는 뇌종양에 걸린 할머니의 죽음 앞에서 정신적 혼돈상황에 처하게 되고 이 상황은 주인공을 포함함 가족 각각의 내면을 열어 보이는 계기가 된다. 또한 할머니와 이웃하던 등장인물 들의 마음을 움직여 새로운 변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과정에서 옛 이야기는 서로의 무 의식을 연결하는 중요한 통로가 된다. 이야기 속에 등장한 ‘호랑이’는 릴리 안에 웅크리고 있던 릴리의 또 다른 모습이기도 하고 한국 민족의 집단 무의식이기도 하다. 릴리는 호랑 이의 요구대로 할머니의 이야기를 세상에 풀어 놓는 과정을 통해 ‘조아여’라는 틀을 벗고 사교적이고 당당한 인격체로 거듭난다. 이로써 자신의 정체성 회복은 물론 가족과의 완전 한 이해관계를 실현시킨다.
    주인공의 무의식에서 발현된 호랑이는 지하실과 도서관 등에 등장하며 이들 공간을 리 미널리티(liminality)를 수행하는 공간으로 만든다. 이 공간적 자극을 통해 릴리는 이야기를 풀어 놓게 되고 할머니의 죽음과 인간 삶의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또한 이 이야기의 효과가 한 사람의 이해관계와 변화에 그치지 않고 주인공과 할머니를 둘러싼 많은 등장인물 들의 변화 가능성을 이끌어 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곧 이야기의 힘이다. 이야기가 발 생되고 전달되는 공간 또한 특정장소에 멈추어 있지 않고 집단 무의식을 통해 살아나고 재생산 된다. 그러므로 소설 속 등장인물들이 이야기를 통해 문제해결의 단서를 찾아 변 화되고 성장하며, 다시 이야기를 창출하고 전달하는 이러한 과정은 인류의 보편적 삶의 과정이자 가장 영속적인 행위라는 가치를 발견하는 유의미한 과정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firm how the stories passed down from grandmother play the mediating role in how the main character grows into a new person as she goes through transitional space in Tae Keller’s long novel When You Trap a Tiger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meaning behind this role. Old stories possess the structure idential to those of myths, fables, and folktales, and wield the power condenced within the human unconscious. Additionally, the sympbolic animal manifested through an illusion is expressed in a different image within the human unconscious and this representation is connected to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humans who have survived while being faced with the edge of life and death. The symbolic representation expressed among those who live the life of immigrants with Korean traditions especially has a multilayered meanings rather a single meaning.
    The main character Lily, whose nickname is ‘Jo-a-yeo’, is confronted by a mental breakdown as she face the loss of her grandmother to a brain tumor and this circumstance acts as an opportunity for each member of the family, including Lily herself, to reveal his or her inner sides. This also moves the hearts of her grandmother’s neighbors allowing a possibility for a new change to open up. In the process, the old stories act as an important channel linking the unconscious of each individual. The ‘tiger’ from the story is another form of Lily that had been cowering up inside her as well as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the Korean people. By releasing the story of her grandmother as requested by the tiger, Lily breaks free from the confining frame of ‘Jo-a-yeo’ and becomes a sociable and confident person. By doing so, she not only rehabilitate her identity but also realizes a completely aligned interests with her family.
    The tiger manifested within the main character’s unconscious appears in places including the basement and the library and turns this place into a communitas space conducting liminality. Through this spatial stimulation, Lily unfolds the storeis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her grandmother’s death as well as human life. This in turn inditcates that the influence of this story does not stop at bringing the change among an individual’s interests but also reaches out to draw forth the potential for changes in many other characters surrounding the main character and her grandmother. This, namely, is the power of a story. It means that the space where the stories are created and delivered does not stay fixed in certain place but rather becomes reborn and reproduced through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is process of recreating and conveying stories can be considered as the conventional process of life among the humanity as well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we discover the value that is the most perpetual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문학비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