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실록 악보에 나타나는 굿음악 덩덕궁이 장단 리듬 (Shaman Music Dengdegungi Rtythm and Rhythmof Sejong Silok Chihwapyeong)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4.06
15P 미리보기
세종실록 악보에 나타나는 굿음악 덩덕궁이 장단 리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5권 / 125 ~ 139페이지
    · 저자명 : 전인평

    초록

    굿당 금성당(錦城堂)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통적 당집으로, 금성대군을 주신(主神)으로 모신 굿당이다. 금성대군(1426~1457)은 세종대왕의 여섯째 아들이며 단종의 숙부인데, 단종복위 운동의 실패로 32세에 비운의 죽임을 당하였다. 이 논문은 2023년 이 금성당에서 들은 덩더궁이장단의 리듬과 『세종실록』악보에 나오는 <치화평 3> 장구형 리듬의 비교 연구가 목적이다.
    굿음악에서 흔히 사용하는 덩더궁이 장단은 3소박 4박자의 리듬으로 3:3:2:1:3 구조이다. 이 장단은 음악의 장르나 속도에 따라 그리고 연주자에 따라 덩더궁이, 당악장단, 자진모리, 휘모리 등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우리나라 장단(長短)의 ‘장단’이란 말을 다시 읽어보면, ‘길고 짧은’ 것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고, 그 리듬 구조를 살펴보면 ‘길고 짧은 음’의 조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길고 짧은 구조의 가장 간단한 비율은 2:1이다. 즉, 2는 긴 것(長)이고 1은 짧은 것(短)이다. 그리고 긴 것과 짧은 것을 합하면 더 긴 3이 된다. 길고 짧음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2:1, 3:2, 5:3 그리고 8:5로 변화한다. 8:6의 경우 5는 긴 것이고 3은 짧은 것이고, 합한 것은 8이 된다. 이처럼 긴 음(長)과 짧은 음(短)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상대적으로 변화한다. 즉, 2:1, 3:2 그리고 5:3 비율은 각각 다르지만 결국 길고 짧은 조합이다.
    『세종실록』 <치화평 3> 리듬은 8:8:5:3:8 구조이다. 현행 굿음악 덩더궁이 리듬 3:3:2:1:3과 <치화평 3> 8:8:5:3:8 리듬을 비교해 보면 덩더궁이 장단의 길고 짧은 비례 2:1이 치화평에서는 5:3으로 확대되었다. 그래서 두 리듬은 긴 음, 짧은 음 그리고 합한 음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종실록』 악보의 <치화평 3>은 500여 년 전 음악으로 옛 음악의 실체를 알려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치화평 3> 장구점 리듬과 오늘날 굿음악 <덩더궁이> 장단 리듬이 동일 구조라는 것은 오늘날 덩더궁이 장단 리듬이 세종 당시 궁중에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다.
    『세종실록』 <치화평 3> 악보 리듬과 굿음악 덩더궁이 장단 리듬의 비교 분석으로 서울굿 덩더궁이장단 리듬이 500여 년 전통의 리듬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또한 현행 굿음악 덩더궁이 장단의 리듬은 15세기 궁중에서도 연주하던 뿌리 깊은 전통의 리듬이라는 것이 밝혀지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rhythm of deongdeokgung rhymes heard at this guemseong shaman shrine in 2023 and the percussion rhythm of chihwapyeong3 in the Sejong Sillok score.
    The rhythm of deongdeogung rhythm, commonly used in shaman gut music, has a structure of 3:3:2:1:3. Depending on the genre or speed of the music and the performer, this rhythm is called deongdeogung rhythm, Jajinmori or Hwimori.
    The word Jandan(長短) means the long(長) and short(短) in Korean, it implies ‘long and short’. The simplest ratio of long and short structure is 2:1. In other words, 2 is long and 1 is short. The long and short is not fixed, and changes to 2:1, 3:2 and 5:3. In other words, 2:1, 3:2 and 5:3 are a long and short combination.
    The rhythm ratio of the Sejong Silok Chihwapyeong3 is 8:8:5:3:8 and the current gut music rhythm ratio is 3:3:2:1:3. Comparing the rhythm of the current shaman gut 3:3:2:1:3 and the rhythm of the Chihwapyeong3 8:8:5:3:8, the long and short proportion of the rhythm of the Dendegung expanded to 5:3 in the Chihwapyeong3.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two rhythms consist of long notes, short notes, and sum of long and short rhythms.
    Chihwapyeong3 music of the Sejong Silok score informs the reality of old music with music from more than 500 years ago. The fact that the rhythm of the shaman gut music deongdeogung rhythm and the rhythm of the chihwapyeong3 are the same today proves the amazing fact that the deongdeogung rhythm was used in the royal court during King Sejong's reign.
    In the meantime, some scholars, including Jonathan Condit and Moon Sook-hee have suggested that the time value of the Sejong Silok score should be interpreted new idea because it is not accurate. However, this study proved that the record of the Sejong Silok music score recorded the rhythm of the music at the tim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hythm of the Chihwapyeong3 score and the rhythm of the shaman gut music Dengdeogung rhythm revealed that the rhythm of the Seoul shaman gut Dengdeogung rhythm is a 500-year-old traditional rhythm, and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rhythm of the current shaman gut music Dengdeogung rhythm is a deep-rooted traditional rhythm that was played in the court in the 15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