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淳萬의 교육구국사상과 淸州 德新學校 설립 (Jung, Soon-man’s educational patriotism and his establishment of Cheongju Deokshin Schoo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8
32P 미리보기
鄭淳萬의 교육구국사상과 淸州 德新學校 설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48권 / 215 ~ 246페이지
    · 저자명 : 박걸순

    초록

    정순만은 이승만․박용만과 함께 ‘독립운동계의 3만’으로 불리며, 한말 국내외에서 전개된 국권회복운동에 중요한 위치에 있던 인물이다. 그는 망명하기 이전 보안회 활동․멕시코 이민 참상 규탄․을사조약 반대투쟁을 주도하며 국권회복운동의 중심적 인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그가 주도한 국권회복운동 가운데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있다. 그것은 그가 고향인 청주 덕촌에서 하동정씨 문중에 발의하여 망명하기 직전인1906년 5월 덕신학교를 건립한 사실이다. 본고는 새로 발굴한 문중기록과 덕신학교 졸업장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정순만의 교육구국사상과 덕신학교 설립을규명한 것이다. 그는 을사조약 반대투쟁이 실패하자, 상동청년회 동지들과 각각귀향하여 향리에서 근대교육을 실시하여 애국사상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1906년 귀향한 정순만은 덕촌 하동정씨 문중 대표들과 학교 건립을 협의하였다. 덕촌에는 이미 宗學契가 있어 문중 자제들의 교육에 힘썼고, 鄭在浩가 塾舍 를 건립 운영한 문중교육의 전통이 있었다. 정순만은 留守公 후예 3파 대표인鄭在鳳(宗派)․鄭斗鉉(中派)․鄭晦鍾(季派)과 회합하여 종재로 학교를 건립하여근대교육을 실시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들은 모두 을사조약의 강제를 망국의 사태로 인식하고 국권회복을 위해 교육의 시급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정순만은 덕신학교 설립을 발의하고 곧 해외로 망명하였기 때문에 학교 운영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망명 이후 이상설과 함께 서전서숙을설립하여 운영하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해조신문≫의 발행을 주도하며 논설을 통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민족운동 내내 교육구국사상을 지니고실천하고자 하였다.
    덕신학교는 1906년 덕촌 하동정씨 문중 자제들의 교육을 위해 종재로 건립된문중학교이다. 그런데 덕신학교의 설립과 운영을 주도한 이들은 대개 간재 전우의 문인이란 사실이 특징이다. 이들 가운데 정두현이 간재의 가장 가까운 문인이었는데, 그는 간재의 반대를 무릅쓰고 근대학교 설립을 결행하였던 것이다.
    덕신학교는 3년 과정의 보통과로 운영되었는데, 1911년 4월 제1회 졸업생을배출하였다. 그후 1916년에는 85명이 재학하는 등 면 소재지에 위치한 문중학교치고는 제법 큰 규모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1919년 일제가 옥산공립보통학교를개교하였기 때문에 개교한 지 13년 만에 폐교되었다.
    요컨대 덕신학교는 독립운동가 정순만이 발의하고 하동정씨 문중이 호응하여건립한 한말 청주지역 일원의 근대교육기관을 대표하는 문중학교로서 평가할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Jung, Soon-man(鄭淳萬) is known as a member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rinity-the three ‘Man’s(3萬)” along with Rhee, Syng-man(李承晩) and Park, Yong-man(朴容萬). He was a key person who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national rights recovery.
    However, there is a part that has not been well recognized as his achievement among the national rights recovery movement. It is the fact that he established Deokshin(德新) School in his hometown, Deokchon(德村), Cheongju, in May 1906 on behalf of Hadong-Jung family’s initiative. Based on newly discovered dat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Jung, Soon-man’s educational patriotism and the establishment of Deokshin School.
    After he failed to fight against the Korean-Japan treaty of 1905(乙巳條約), he himself and members of Sangdong Youth Association(尙洞靑年會) returned their hometowns in 1906, to promote modern education for patriotism in their regions. Then, he soon decided to establish a school with the representatives of Hadong-Jung family by exploiting the family’s property, in order to implement modern education. They all regarded the signing of the Korean-Japan treaty of 1905 as the extermination of Chosun dynasty and recognized that the most urgent need for national rights recovery was the implementation of modern education.
    Jung, Soon-man did not directly participate in the school operation and management because he soon exiled abroad right after he initiated the establishment of Deokshin School. However, after his exile, he established and managed Seojeon-Seo-Sook(瑞甸書塾) with Lee, Sang-sul(李相卨) in Buk-gando(北間島). He also led the publication of ‘Haejo-Shinmun(海潮新聞)’ in Vladivostok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dern education by addressing it in an editorial in ‘Haejo-Shinmun’. Throughout his national movement, he had tried implementing educational patriotism.
    Deokshin School was built as a family school with Hadong-Jung family’s endowment in 1906 to educate their children. However, those who l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Deokshin School were writers affected by Gangae(艮齋) Jeon, Woo(田愚). Although, among them, Jung, Du-hyeon(鄭 斗賢) was the closest writer to Gangae, he ran the other way against Gangae to institute the modern school.
    Deokshin School was operated as 3-year school with ordinary courses. In the early days of teaching Japanese, it was contrary to the founder’s intention to conduct national education, but it seemed that the Japanese language curriculum was soon abolished and replaced by the Korean language to strengthen national education. Deoksin School produced its first graduates in April, 1911. In 1916, 85 students were enrolled at the school. It was operated on a larger scale than those of ordinary family schools located at a small county. However, in 1919,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pened Oksan public school(玉山公立普通學校). Thus, it was closed after 13 years of operation.
    In summary, Deoksin School was founded by an independence activist, Jung, Soon-man and erected in response to Hadong-Jung’s family. It can be evaluated as a family school, which represents modern educational institutes in Cheongju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