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산 권기덕의 성리설 (A Study of Samsa(三山) Kwon Ki-deok(權基德)’s Neo-Confucianistic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12
32P 미리보기
삼산 권기덕의 성리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2호 / 103 ~ 134페이지
    · 저자명 : 김상현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三山 權基德의 성리설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권기덕은 아직 학계에 소개된 적이 없기 때문에 그가 기정진의 고제인 정재규의 제자라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그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권기덕이란 인물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그의 사상을 담고 있는 문집의 구성과 내용은 무엇인지, 그 사상의 학파적 정체성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
    권기덕의 성리설을 살펴보기 위해서 선행작업으로 권기덕의 삶의 자취와 권기덕의 사상을 담고 있는 문집 『三山遺稿』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권기덕의 삶과 문집에 대한 분석을 마무리한 후, 본격적으로 권기덕의 성리설에 대해 탐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논자는 권기덕 성리설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첫째, 권기덕은 리의 필연을 리의 능연까지 확장하여 리의 주재성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둘째, 권기덕은 순수 선한 리의 주재와 현실세계에서 악의 발생 간에 놓여 있는 간극을 메우기 위해 리를 理一의 차원과 分殊의 차원으로 구분해 바라볼 것을 제안했다. 리의 순수성은 리일의 리를 통해 정당화할 수 있는 반면, 리의 주재하에 발생하는 악의 문제는 분수리의 表裏精粗를 통해 해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셋째, 권기덕은 마음의 본체를 리로 규정하고 마음이 한 몸의 주재자로 만사에 대응할 수 있는 근거를 마음의 본체인 리에 온갖 리가 갖추어져 있다는 데에서 찾았다. 마음을 기로 보는 근거 위에서는 리의 온전한 주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넷째, 권기덕은 명덕을 기가 아닌 마음의 본체인 리로 보았다. 이를 통해 리의 주재성 강조를 마음의 주재성 강화로까지 확장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노사학단의 일원인 권기덕이라는 인물을 학계에 처음 소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사학단의 성리설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정재규와 권기덕은 영남지역의 노사문인이기 때문에 영남지역에서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지표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at the characteristics of Samsa(三山) Kwon Ki-deok(權基德)’s Neo-Confucianistic theory are. However, Kwon Ki-deok has not been introduced to academia yet. Therefore,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him except for the fact that he is a disciple of Jeong Jae-gyu(鄭載圭). In other words,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what kind of life Kwon Ki-deok lived, what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ollection of writings containing his thoughts, and what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thoughts is.
    In order to examine Kwon Ki-deok's Neo-Confucianistic theory, we looked at the traces of Kwon Ki-deok's life, and then analyzed Samsan Yugo(三山遺稿), a collection of writings containing Kwon Ki-deok's thoughts. After completing the analysis of Kwon Ki-deok's life and collection of writings, his theory of Neo-Confucianism was explored in earnest.
    Through this study, I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Kwon Ki-deok's theory of Neo-Confucianism as follows. First, Kwon Ki-deok tried to strengthen Li's ju-jae(主宰) by extending beyond li(理)’s pil-yeon(必然) to li(理)’s neung-yeon(能然). Second, In order to fill the gap between Li's ju-jae(主宰) and the occurrence of evil in the real world, Kwon Ki-deok proposed to divide li into li-il(理一) and bun-su(分殊) dimensions. Third, Kwon Ki-duk defined the substance of the mind as li, and found the basis for the mind to respond to all things as the ruler of one body from the fact that the substance of the mind, Li, has all kinds of li. Fourth, Kwon Ki-duk saw Myeong-deok(明德) not as Ki(氣), but as Li, the substance of the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