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17세기 퇴계학파退溪學派의 사서四書 해석과 그 의미 ― 금보琴輔·이덕홍李德弘·조호익曺好益의 사서 해석을 중심으로 (Toegye school's Interpretation and Implication of Chinese classics in 16th and 17th Century ― mainly focusing on interpretation of Four books by Kum bo(琴輔)·Lee dughong(李德弘)·Jo hoic(曺好益))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12
34P 미리보기
16~17세기 퇴계학파退溪學派의 사서四書 해석과 그 의미 ― 금보琴輔·이덕홍李德弘·조호익曺好益의 사서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3호 / 563 ~ 596페이지
    · 저자명 : 전재동

    초록

    본고는 16~7세기 퇴계학파의 경서 해석 가운데 금보琴輔의 「사서질의四書質疑」, 이덕홍李德弘의 사서질의 , 조호익曺好益의 「제서질의諸書質疑」와 대학동자문답大學童子問答 을 분석하여 그 특징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금보의 「사서질의」는 스승 이황이 벼슬에서 물러난 뒤 퇴계에서기거하면서 본격적인 저술활동에 매진했을 때 나온 것이기에 이황의 사서석의四書釋義 편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서질의 논어」에 수록된 내용의 절반 이상이 이황의「논어석의」에 수용되었음을 밝혔다.
    이덕홍의 사서질의 는 기호학자들이 이황의 저술로 인식하여 상당부분 비판의 안목이 더해졌다. 그 결과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사서질의 는 원문의 많은 부분이 산삭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지만 이덕홍의 사서질의 는 이황의 사서석의 를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보의 그것과 더불어 퇴계학맥 직전 제자들의 경서 해석 연구에 귀중하다고 하겠다.
    조호익의 경서 해석은 퇴계학파 경서 해석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지산집 에 수록된 「제서질의」는 퇴계학파의 경서 해석이 대전본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성리대전性理大全 이나 정복심의 「사서장도」 등 대전본 소주小註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의 산실이었음을 검토해 보았다. 대학동자문답 은 주자의 대학장구 를 검토 대상으로 하여 전문 10장을 심천시종深淺始終의 뜻으로 파악하거나, 보망장(전문 5장)을 4절로 분절하는 등의 독창적인 의견을 피력한 텍스트이다.
    16~7세기 퇴계학파의 경서 해석은 정주의 학설에 경도된 당시의 분위기와는 달리 조선인들이 이해한 사서를 조선 사람들에게 전파하려고노력했다는 점에 가장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무엇이 주자의 설에 가까운지에 중점을 둔 것이 아니라, 어떤 해석이 가장 경문의 문리에 적합한 해석인지를 고려하였다는 사실이 이 시기 퇴계학파의 경서해석이 지닌 장점 중의 하나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as intended to analyze Saseogilyue(四書質疑) by Kum bo(琴輔), Saseogilyue(四書質疑) by Lee dughong(李德弘), Geoseogilyue(諸 書質疑) and Daehakdongjamundab(大學童子問答) by Jo hoic(曺好益) among Toegye school's interpretations on Chinese classics from 16th to 17th century. In addition to it, it was also intended to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interpretations of Chinese classics. Kum bo(琴輔)'s Saseogilyue(四書質疑) was written when he lived in after his mentor, Lee hwang(李滉) resigned his post in an offic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book profoundly influenced Lee hwang's Saseosukyue(四書釋義). To support this, it was made clear that more than half of Saseogilyue(四書質疑) the Analects of Confucius(四書質疑 論語) was integrated into Nonoesukyue(論語釋義).
    Lee dughong(李德弘)'s Saseogilyue(四書質疑) was mistaken for Toegye's writing by Giho school scholars. As a result, much of Saseogilyue(四書質疑)'s original text was deleted. Nonetheless, Saseogilyue(四書質疑) is succeeded to Lee hwang(李滉)'s Saseosukyue(四書釋義). 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for the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by the disciples right before the Toegye school ties. Besides, it was found significant in that Jo hoic's interpretations of Chinese classics showed the variety of Toegye school. Furthermore, Geoseogilyue(諸書質疑) is the subject of Saseodaejun(四書大全) analysis. Lastly, much effort was put to exceed the limits of 小註 by the way of both Sunglidaejun(性理大全) and Saseojangdo(四書章圖). The interpretation of Chinese classics of 16th and 17th century by Toegye school has a key importance in that it was achieved very creatively. In other words, contemporary scholars at that time was deeply biased in the way they followed only Zhuxi's theory, however, these scholars took a different way from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