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도의 덕(德)과 인격적 성품의 방향 (A Study on 德(De) of Martial Arts and Direction of Personal Character)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09
19P 미리보기
무도의 덕(德)과 인격적 성품의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2권 / 3호 / 39 ~ 57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호, 황옥철

    초록

    이 연구는 무도에서 덕이 갖는 의미는 무엇이고, 이를 위한 인격적 성품은 어떻게 형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론적 연구이다. 무도수행이 인격완성을 목적으로 한다면 그것은 동양적인 의미인 덕의 용어와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동양적인 의미의 덕과 무도에서의 추구하는 덕이 서로 지향하는 목적은 같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획득하고 설명하는 방향은 다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무도에서 덕을 얻기 위한 실천적 방향은 다음의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 즉 무도에서 덕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고, 무도에서 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이고, 무도를 통해 어떻게 덕을 배울 수 있는가?를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해답은 쉬운 작업은 아니다. 더욱이 덕 이론이 갖는 메타 윤리적 의미뿐만 아니라, 서구의 덕(virtue)이 보여주는 개념적 혼동은 무도에서 덕의 의미를 설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져다준다. 또한 무도가 갖는 수행의 의미를 덕(德)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지만, 기존 무도에서 보여준 덕의 전개와 해석은 3자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이는 각각의 덕목들이 자신의 실천적 행위에 따른 이해와 해석의 부족에 기인한다. 무도에서 덕의 의미는 각각의 무도의 입장과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될 수는 있지만, 무도수행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인격과 품격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에는 일치한다. 무도에서 인격완성은 무도수행의 과정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의식에 대한 태도변경으로 드러나야 한다. 이는 지(知)·정(情)·의(意)라는 의식의 성품변화에 기인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시론적 의미로 무도에서 인격완성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무도에서의 반성적 행위는 이성적 판단이 가능하다. 둘째, 무도의 예의 습관화는 감정의 통제가 가능하다. 셋째, 자신의 기의 발현은 의지의 강화로 나타날 수 있다. 물론 무도가 추구하는 인격적 성품의 방향은 앞에서 지적한 모든 조건을 조화롭게 형성될 때 가능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introductory study what De(德) means in martial arts and how to build practically completion of character in process of martial arts. If we set up the purpose of characteristic completion in cultivation of martial arts, which relates the De(德) of the Eastern meaning. But, although De(德) of Eastern meaning and De(德) that martial arts seeks are similar in their intentional purposes, directions obtaining the De(德) are of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parate ways. So, we need to answer the practical directions to get De(德). These should be explained the following question: on viewing from the martial arts, how to translate the De(德), why needs the De(德), how to learn the De(德) through the martial arts. These answers are not easy. Especially, Western virtue having meaning of meta-ethics intensifies confusion to understand the De(德). Although the meaning of cultivation in martial arts suggests on viewing of De(德), which shows as the third party in development and analysis of De(德). This arise from the insufficiency in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practical behavior the discipliner seeks. But, we have consensus that cultivation of martial arts has to set the personal character. Personal character represents through the attitude change of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cultivation of martial arts. These are results of changes in reason(知), emotion(情), and will(意) in establishing the personal attitude through martial arts. On based it, directions of personal character are as follows: First, reflective behavior makes it possible to be reasonal judgement in martial arts. Second, habituation of courtesy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emotion. Third, the revelation of personal 氣(Ki) may represent as reinforcement of will. Of course, directions of personal character that martial arts seeks must be formed harmoniously three conditions mentioned earli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