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사소통과 규약: 데이빗슨과 더밋 (Communication and Conven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8.03
24P 미리보기
의사소통과 규약: 데이빗슨과 더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42호 / 149 ~ 172페이지
    · 저자명 : 이상룡

    초록

    데이빗슨은 언어적 규약이 없어도 의사소통이 가능할 뿐 아니라, 언어가 규약의 공유를 함축하는 것이라면 그런 언어는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더밋은 의사소통에서 규약이 본질적이라 본다. 그리고 규약의 공유가 있어야 규칙을 따르는 것과 규칙을 따른다고 생각하는 것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라는 비트겐슈타인의 질문에 답할 수 있다고 본다.
    데이빗슨과 더밋은 둘 다 언어적 행위가 필연적으로 사회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한 사람 이상이 없이는 언어와 같은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본다. 또는 오직 어떤 한 사람이 오직 한 번 어떤 하나의 규칙을 따랐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에 동의한다.
    이들이 갈라지는 곳은 사회적 환경이 그 본질적 기여를 만드는 방식에 대한 생각에서다. 더밋은 규약이 사회적 실천을 구성하는 것이고, 규약의 역할을 거부하는 것은 언어가 이런 의미에서 실천임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데이빗슨은 규약이 언어의 조건인 것이 아니라 언어가 규약의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실천이 공유되어야 할 어떠한 근본적인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규칙 따르기 논증에서 비트겐슈타인이 보여준 결정적 통찰은 규칙 따르기의 사회적 성격이 규칙이 아니라 따르기에서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규칙은 규칙 따르기라는 사회적 상호 관계의 맥락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화자와 해석자 사이에는 일치하는 부분이 먼저 있어야 한다. 그 일치하는 부분을 더밋은 규약이라 부르는데, 그것은 규칙으로 환원하기 어렵다. 오히려 비트겐슈타인을 따라 '삶의 형태'의 일치라 불러야 할 것이다. 의사소통에서 규약이 본질적이라 주장하는 더밋은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통찰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영어초록

    Davidson argues that convention is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for successful linguistic communication, in addition that if language is taken to imply shared conventions, there is no such a thing as a language. But Dummett thinks that if we want to communicate, we should use words in their socially accepted way. And he thinks that only a shared practice can give an answer to Wittgenstein's question what distinguishes following a rule from merely thinking one is following a rule.
    Davidson and Dummett both insist that verbal behavior is necessarily social. They see that there couldn't be anything like a language without more than one person. They even agree on the underlying reason, namely Wittgenstein's, that it is not possible that there should have been only one occasion on which someone obeyed a rule. Where they part company is in how they think the social environment makes its essential contribution.
    Dummett argues that conventions are what constitutes a social practice, and to repudiate the role of conventions is to deny that a language is in this sense a practice. On the other hand Davidson argues that convention is not a condition of language but language is a condition for having convention. That is to say there is no fundamental reason why practices must be shared.
    A crucial observation in discussion of following rules made by Wittgenstein is that the social nature of following rules should be discovered from the following and not rule oneself. The rule exists only in connection inside of the social correlation which is an observance of rule. In order to communicate there should be a portion which agrees between the speakers and listeners.
    Dummett calls the agreement convention, but it is hard to reduce the convention to rules. Rather, according to Wittgenstein, it will have to call agreement of 'form of life'. Dummett who insists that convention is essential in communication does not fully grasp these Wittgenstein's insi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