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튜브에서의 뮤직비디오 팬덤 분석 BTS M/V의 시청, 댓글 상호작용, 밈 영상 제작 (An Analysis of M/V Fandom on YouTube BTS M/V View, Comment Interaction, and Meme Produc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2
39P 미리보기
유튜브에서의 뮤직비디오 팬덤 분석 BTS M/V의 시청, 댓글 상호작용, 밈 영상 제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4권 / 1호 / 7 ~ 45페이지
    · 저자명 : 최순욱, 최성인, 이재현

    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 보이그룹 방탄소년단(BTS)이 유튜브에 공개한 세 편의 뮤직비디오와 그것을 변형한 영상인 ‘밈’ 데이터를 통해 유튜브에서 뮤직비디오가 이용되고 확산되는 양상을 팬덤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API를 이용한 크롤링 방식으로 수집된 대규모 데이터를 통해 연구문제별로 다음의 사항을 확인했다. [연구문제 1]에서는 팬덤의 M/V 조회수와 댓글 수가 첫 주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롱테일(longtail)’ 형태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문제 2]에서는 댓글을 통한 팬덤 내부의 상호작용 양상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팬덤의 대다수는 각자 목소리를 낼 뿐, 서로 대화하지 않는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M/V 밈과 관련된 [연구문제 3]에서는 밈 제작이 ‘댓글 작성자와 겹치지 않는’, ‘지극히 소수의’, ‘상업적’ 제작자에 의해 주도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대상에 대한 애호보다는 경제적인 목적에서 커버나 패러디를 만드는 전문 제작자가 유튜브 이용자의 압도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었다. 즉, 유튜브에서의 BTS 팬덤 문화 유튜브라는 플랫폼에서는 참여적이거나 양방향적 특성을 보인다고 보기 어려웠으며, 유튜브 역시 민주적인 참여와 창작의 공간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는 새로운 기술, 문화에 대한 근거 없는 낙관적 기대를 경계하도록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YouTube as a space for participatory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fandom. As music videos are a common form for various cultural activities on YouTube, this study chose to use large-scale data composed of views, comments, and memes related to three M/Vs released by the global boy group, BTS, which were crawled using the YouTube API.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data identifi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number of views and comments formed a ‘long-tail’, where the number is the highest in the first week followed by a sharp decrease. This suggests that careful planning and strategy are needed to elicit an explosive response in the early stages of M/V release on YouTube. In addition, a “spillover” phenomenon was observed in which other media stimuli affected M/V views in the later stages. Secondly, interaction amongst fans on YouTube was rather limited as the majority of commenters were more engaged in making their own voices heard instead of interacting with others. A vast majority of fandom remained only as viewers on YouTube, and was very reluctant in not only participating in conversations but also expressing their love for the videos through likes or comments. Lastly, memes were observed as a product of a ‘very few’, ‘commercial’ producers. These producers with commercial interests were able to draw much attention with high-quality professionalized content. This seems to accelerate the strat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fandom and raises the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concept of fandom that was centered on ‘love’, ‘loyalty’, and ‘crushes’. Overall, YouTube is far from a place of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creative production for fandom, showing that groundless optimism towards new technology and culture should be avoided.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collected and systematically analyzed not only information of M/Vs, such as views and comments, but also meme information through API. Second,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that collected and analyzed memes for a single M/V, we attempted to analyze the ecosystem related to memes by collecting, class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memes of several M/Vs simultaneously.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irst, it is possible that the YouTube search API used during the collection of meme-related data caused some distortion. Second, this study used the M/Vs of BTS, but it is possible that the activity of fandom related to M/Vs of other artists is different from that related to BTS’s M/Vs. Third, textual analysis of comments was not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such analysis in subsequent studies, as the content of comments may reveal more aspects of the dialogue among fando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