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샌드댐 채움재 결정을 위한 탁도 저감 효율 평가 (Turbidity reduction effect assessment for determination of sand dam fill material)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03
12P 미리보기
샌드댐 채움재 결정을 위한 탁도 저감 효율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질학회지 / 59권 / 1호 / 35 ~ 46페이지
    · 저자명 : 김일환, 안경환, 김양아, 장선우, 김민규, 정일문

    초록

    샌드댐의 원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광역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는 지류의 최상류 지역에 시설을 설치하였다. 평상시에는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량을 증대시키고, 가뭄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샌드댐 설치에 있어 탁도저감 효율을 평가하여 최적의 채움재를 선정하고, 현장 규모의 칼럼 실험을 구성하여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에는 두 가지 크기의 칼럼을 사용하였고, 채움재 선정을 위해서는 80 cm 높이의 칼럼을 이용하였다.
    샌드댐 채움재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모래를 이용하였다. 네 가지 종류의 모래를 사용하였고, 효과가 좋은 입경을 가진 채움재를 대상으로 현장 규모의 125 cm 높이의 칼럼을 제작하여 실제 탁도 저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채움재 선정은 큰 편차 없이 일정하게 탁도를 저감시키고 평균 탁도 저감률이 높은 시료인 복합층(0.8-1.2 mm / 2-4 mm)으로 결정하였다. 탁도 저감률은 1차 실험을 제외하고는 95% 이상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이 진행하며 황토가 쌓임에 따라 채움재의 공극이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움재의 부유물 제거 없이실험을 진행하면서 탁도의 저감효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출량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의 채움재에 대한 적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 대해서 대처할수 있으며, 완전한 폐색이 일어나기 전 유출량의 감소 등의 징후에 따라 선제적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Using the principle of the sand dam, the facility was installed in the upper stream area where water without supply in Korea. The sand dam aims to increase the water resources available during normal season and countermeasure for drought. The optimal filling material was selected to evaluate the turbidity reduction efficiency in the sand dam installation, and the applicability was evaluated by configuring a field-scale column experiment.
    Two sizes of column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nd sand was used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sad dam filling material. A column with a height of 80 cm was used to select the filling materials. Four types of sand were used, and the actual turbidity reduction efficiency was analyzed by configurating a field-scale column of 125 cm height for a filler with a good particle size. The selection of filling materials was determined as a combination layer (0.8-1.2 mm / 2-4 mm), which is a sample with a high average turbidity reduction rate and uniformly reduced turbidity without large deviations. The turbidity reduction rate is more than 95% except for the first experiment, showing excellent performance. As the experiment proceeded, it was found that the porous filler material became smaller as the ocher piled up, and whil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out removing the ocher, the turbidity reduction effect was found to increase, but the outflow was reduced. Us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field filling material. In addition, it can handle with various situations, and it seems possible to take a preemptive handle according to signs such a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outflow rate before complete blockage occu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질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