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크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을 통해 댄 그레이엄(Dan Graham)의 작품 읽기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Dan Graham’s Works : Focusing on the ‘Narcissism’ based upon Jacques Lacan’s Theor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8
29P 미리보기
자크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을 통해 댄 그레이엄(Dan Graham)의 작품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7권 / 163 ~ 191페이지
    · 저자명 : 손민경

    초록

    본 논문은 정신분석학 개념인 ‘나르시시즘’을 통해 댄 그레이엄(Dan Graham, 1942-)의 작업에 드러난 주체의 다양한 양상들을 분석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나르시시즘은 자기애를 의미하지만, 정신분석학에서는 자아가 자신의 이미지를 스스로와 동일시함으로써 주체성을 형성하는 심리 기제를 지칭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신분석학적 의미에서의 나르시시즘을 통해 관람자의 심리를 분석하고자 했다. 그레이엄의 작업에서는 관람자가 자신의 이미지와 대면하게 되는 자기반영적인 상황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성되어 왔다. 그 결과, 오브제 대신에 매체에 반영된 자신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관람자는 자기 이미지에 대한 심리적 주체로서 상정되었다. 이 같은 심리적 상황은 다른 관람자나 주변 환경에 대한 관람자의 지각반응과 겹쳐지면서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들을 형성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관람자의 심리경험을 주체이론으로 유명한 자크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을 통해살펴봄으로써 주체의 분열과 형성 등 주체의 여러 양상들을 그의 작품에서 발견하고자 했다.
    그레이엄의 작업에서 발견되는 주체의 다양한 모습들 중에서 본 연구는 세지점에 주목했다. 첫째는 비디오설치에서 감지되는 근대적 주체 개념에 대한 작가의 회의적 태도이다. 비디오설치에서는 주체가 반영이미지와의 동일시에 실패하게 되는 상황이 조성되는데, 이 같은 나르시시즘의 좌절은 주체형성과정에 내재된주체의 분열을 환기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주체의 분열이 자각되는 그의작업에서는 일관된 존재로 가정되는 근대적 주체 개념이 허구로 간주되고 거부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는 퍼포먼스에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변화되는 욕망의 주체로서의 모습이다. 그의 퍼포먼스에서는 주체의 분열이 타자의 응시와 언술에 의해 자각되는데, 그것은 주체성이 타자를 자신으로 오인하여 얻은 산물이라는 사실을 상기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분열에 대한 자각으로 인해 퍼포먼스에서의 주체는 또 다른 타자와의 반복적인 동일시를 통해 주체성의 회복을 시도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그의 퍼포먼스는 주체의 고유한 영역을 강조해 온 모더니즘적 주체 개념에 의문을 제기하고, 끝없이 변화하는 존재라는 새로운 주체 개념을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셋째는 파빌리온 조각에서 주체가 주변 환경적 맥락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양상들로 존재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주체가 주변 환경에 따라 변화되는 자신의 이미지와 동일시하는 과정으로 설명되는데, 이는 곧 주체란 맥락에 의해 새롭게 구축되는 존재임을 의미했다. 즉, 파빌리온조각 내부에 교차되는 사회, 문화, 역사 등의 여러 맥락들은 주체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의 기원이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그레이엄이 오래전부터 여러 매체를 사용하여주체의 다양한 양상들을 다루어 왔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 중에서도 본 논문은 그의 작업들이 근대적 주체 개념을 거부함에 따라 모더니즘적 주체에 대비되는 측면을 지님을 주목하였고, 나아가 주체가 끊임없이 변화되거나 맥락에 의해 형성되는 존재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적 주체 개념을 다루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의 작업들은 오늘날 미술사에서 전개되고 있는주체에 대한 논의를 예고할 뿐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로 간주될 수 있다고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심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그의 작업들이 새로이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works of Dan Graham, which have been in progress since 1970, through Narcissism. This paper is dedicated to finding the common ground which would provide an accurate and yet general understanding of his vast and diverse accomplishments. In order to do so,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observe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s created by various mediums used in different genres of work. By applying psychoanalysi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was observe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observer is closely related to the matters of the subject such as segmentation and formation.
    Various forms of the subject are observed throughout his works in the perspective of Narcissism, a psychological mechanism in subject formation. In this paper, three particular areas were mainly discussed. First, skepticism over modern subjects was witnessed in his video works. In his video works, the situation where the subject failed to identify itself with the reflective image was repeated. This failure of Narcissism shows the inherent segmentation in the subject formation process. According to Jacques Lacan, the dissolution of the subject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argument that the belief that modern subjects are an uniformed entity is only a myth. Second,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subject that took place while one was forming a relationship with others was a common theme found in his performances. In his performances, the segmentation of the subject was realized through self-perception caused by the gaze of the Other and the discourse of the Other. It reminds the fact that this process is an outcome of misrecognition when the subject perceives the Other as him/herself. In addition, another self-perception occurred to regain his/her subjectivity from the dissolved subject by identifying him/herself with another being. Third, according to his Pavilion sculptures plural subject formation was possibl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in Pavilion sculptures unfolded itself by forming a Narcissistic relationship with the reflective image which was produced when the subject successfully assimilated itself to the surrounding. As a result, the subject was able to reconstruct a new meaning within the environmental context. In other words, various contexts such as society, culture and history that are interwoven in the Pavilion sculptures can be the origin of the new definition of the subject.
    In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Graham has dealt with the matters of subjectivity by applying various mediums. Also, the subjectivity in his work contrasts with modernism as it reveals skepticism over the existence of modern subjects and can be interpreted as part of post-modernism since it entails the process of constant reformation and redefinition of the segmented self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These properties of his works can be considered as the pioneering examples that set the foundation for the upcoming controversies on the subjectivity which are currently discussed in today’s art history. Finally, his works have introduced a new perspective to re-interpret and evaluate the works of art in terms of psychological val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