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토지>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 대한 모색 - 박경리 문학공원과 하동 최참판댁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To-ji’s culture contents - about Park Kyongni Literature Park and Hadong House of Choe Champan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12
22P 미리보기
소설 &lt;토지&gt;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 대한 모색 - 박경리 문학공원과 하동 최참판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34권 / 157 ~ 178페이지
    · 저자명 : 김예니

    초록

    『토지』를 원천소스로 하는 대표적인 문학관에는 박경리 문학공원과 하동 최참판댁이 있다. 이 두 문학관은 여타의 문학관에 비해 지방자치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창작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해진 요즘, 이 두 문학관을 중심으로 향후 문학관이 양질의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거주지 활용형에 해당하는 박경리 문학공원은 『토지』의 타향과 귀향의 구조를 공원의 동선에 옮겨 『토지』속 대표적인 공간을 형상화했다. 하지만 다소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다면 박경리 문학공원의 ‘평사리마당’이라 할 것이다. 이 안에 위치한 수로가 섬진강에 대한 은유라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렵다. 아름답게 가꾼 정원과 평사리의 자연을 유비하는 것이 어색하기 때문이다. ‘평사리마당’이 보다 풍부한 스토리텔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향 마을’의 이미지, 사람들과 함께 어우러져 살았던 ‘마을’의 이미지를 고려했어야 했다. 그랬다면, 인위적인 조경 속에서 그 의미를 강요받는 방식의 스토리텔링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작품활용형 문학관인 하동 최참판댁의 경우 좋은 인프라를 가지고 있으나 장소로서 활용하는 것 외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단순히 각 건축물마다 누구의 소유였는지 간략하게 소개하는 안내판만으로는 정보제공에 그칠 뿐, 『토지』라는 스토리텔링에 관람객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데는 나아가지 못한다. 안내판을 통해 제공하는 문구도 단순히 건축물에 대한 안내가 아니라 그 건축물의 소유자가 어떤 인물인지를 보여주는 작품 속 한 대목을 소개하는 방법이거나 이를 재연하는 방식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문학관들이 과거의 문인이나 작품을 현재로 호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면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문학관의 스토리텔링이 설명보단 작품 속 인용을, 인용보단 묘사를, 묘사보단 재연을 하는 방식으로 관람객들과 소통하다보면 보다 작품의 정서와 의미를 전달하고 작가와 작품의 현재적 의미를 되새기는데 성공적일 것이라 예상한다.

    영어초록

    Park Kyongni Literature Park and Hadong House of Choe Champan are the major literary houses based on the Toji. They are become famous culture contents in their area because of aggressive support from the local governments in comparison with other literary houses. I think, nowadays, communication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because the boundary between creator and consumer is blurred. So, I will investigate how literary houses will be high quality culture contents focusing on those two literary houses.




    Park Kyongni Literature Park uses a place of residence, and visualizes the major space of Toji by building up a structure of strange place and hometown in people’s moving line of the park. But, the awkward part of Park Kyongni Literature Park would be the Pyeongsa-ri garden. I do not agree with that the watercourse in the garden is the metaphor of Seomjingang because the compare between the garden which people embellish and the nature of Pyeongsa-ri is awkward. In my opinion, Pyeongsa-ri garden is needed to consider the image of hometown and a village that people live together for more abundant story telling. If it were, it would avoid the forced story telling by man-made landscaping. Hadong House of Choe Champan uses the content, and has a good infrastructure. But it needs to seek for various ways instead of using as only place. That signboards of each building indicate the owner of the building is just offering information. It could not encourage visitors to participate in the story telling actively. The text of signboards should not offer the simpl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ut should introduce the part of Toji which can explain who the owner of the building is.
    Literary houses have a roll to recall the past writers and their works to the present, and it needs to seek for various methods to communicate with visitors aggressively. I think if the story telling of literary house communicates with visitors by using quotation in a literature instead of explanation and choosing to reenact instead of description, it will be successful to remind a present meaning of literature, and to deliver a meaning and emotion of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