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기-되기:『선천댁』에 나타난 안병무의 ‘민중 구원론’다시 읽기 (Re-reading of Ahn Byung-Mu 's 'Minjung Soteriology' through 『Suncheon-dae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06
21P 미리보기
데기-되기:『선천댁』에 나타난 안병무의 ‘민중 구원론’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53호 / 1 ~ 21페이지
    · 저자명 : 구미정

    초록

    이 글은 안병무의 유작인 『선천댁』을 통해 민중신학과 여성신학의 대화를 모색한 것이다. 안병무는 민중신학자의 과제가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는, 자기를 표현할 언어를 잃어버린 민중을 대신하여 ‘증언’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그런 한편으로, 그는 ‘민중’ 개념이 박제화될 것을 우려하여 끝내 민중에 대한 개념화를 거부했는데, 죽음이 임박한 시점에서 마침내 ‘이것이 민중이다’를 증언하기 위해 제시한 것이 바로 선천댁이다.
    안병무의 어머니 선천댁은 비문자 계층의 여성으로, 당대 거의 모든 여성들이 그러했듯이 가부장적 가족제도 안에서 차별과 희생을 겪었다. 식자(識者)인 남편의 모진 학대와 냉대 속에서 부엌데기로, 소박데기로, 바리데기로 살았다. 그러나 그녀는 자기를 버린 남편과 그 남편을 빼앗아간 첩에 대해 분노와 증오의 감정을 품기는커녕, 연민과 자비로 보듬었다. 그녀의 품은 ‘가난의 슬픔’을 아는 여성들, ‘불행한 결혼’의 고민을 안은 여성들, 그래서 누군가의 ‘품’이 늘 그리운 여성들이 몰려들어 쉼을 얻는 ‘생명 연대’의 공간이었다.
    안병무는 그러한 선천댁의 ‘연민의 윤리’에서 민중의 자기초월의 단초를 발견한 듯하다. 그렇다면, ‘민중’은 어떤 사람이 단지 현존체제의 밑바닥에 처해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그 안에 포섭될 수 있는 만능 개념이 아니고, 오히려 ‘남을 위한 삶’으로 체화된 무엇, 곧 자기초월적 차원변화를 이뤄낸 ‘씨’ 또는 ‘산알’이어야 참 민중일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러한 민중의 특성을 마이스터 엑카르트의 ‘하느님-아기를 낳음’에 견주어 설명한다. 나아가 민중신학이 신비주의와 탈식민주의, 그리고 여성주의와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면서, 21세기 지구화 시대에 유의미한 자리를 확보할 수 있는 지점을 모색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dialogue between Minjung theology and feminist theology through Suncheon-daeg, which is the last book written by Ahn Byung-Mu, a worldly renowned Minjung theologian. The task of Minjung theologian, he suggests, is to give testimony to the Minjung with aphasia. And Suncheon-daeg is one real and alive example of the Minjung.
    Suncheon-daeg, the mother of Ahn Byung-Mu, suffered from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under the patriarchical family system like other women at that time. She, who was illiterate on the contrary to her elite husband, lived as a kitchen maid and abandoned wife. However, far from having any hate or rage feeling, she embraced her husband and even his mistresses with compassion. Furthermore, she cared for many other women who were poor and sad, especially due to the bad experience of a miserable marriage. Her bosom became the space manifested the solidarity of life.
    Ahn Byung-Mu might discover a clue of self-transcendence of Minjung from the ethic of compassion shown in his mother's life. The idea of Minjung, then, is not the all-round concept under which the tag and rag can be subsumed for their being of lower and powerless class, but the special term refers to the so-called 'SSial-minjung' or 'Sanal-minjung' who attained self-transcendence through the life for others.
    In this article, the author explains this character of Minjung in comparison with the notion of 'giving birth of God-baby' suggested by Meister Eckhart, and gropes for the meaningful space of Minjung theology in a global age by seeking for its 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mysticism,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