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벌 안보 관점에서 본 미국의 대 아프리카 전략 (The U.S. Strategy for Africa from a Global Security Perspectiv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0.10
22P 미리보기
글로벌 안보 관점에서 본 미국의 대 아프리카 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국제지역연구 / 14권 / 3호 / 173 ~ 194페이지
    · 저자명 : 서상현

    초록

    최근 아프리카의 전략적 중요성이 높아지자 미국은 아프리카에 대한 개입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시 정권은 2008년 10월 1일 새로운 지역 통합군으로 아프리카대륙 전체를 통합하여 관할하는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를 창설했다. 미국은 포괄적으로 아프리카에 관여하여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직접적인 안보상의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구축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것은 미국의 새로운 대 아프리카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지휘본부를 둔 미 아프리카사령부는 이미 아프리카 지부티를 비롯한 여러 곳에 기지를 구축한 미 군사기지들을 아우르게 된다. 미 아프리카사령부의 전략적 목표는 아프리카의 잠재적인 반미 국가들과 무장집단들을 견제하면서, 아프리카의 풍부한 천연자원(특히 석유) 이권을 챙기려는 미국 대외전략의 물리적 뒷받침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현재 아프리카에 있는 가장 중요한 미군기지는 아프리카 북동부, 이른바 ‘아프리카의 뿔' 지역 안에 있는 지부티 기지다.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수단과 가까이 자리한 지부티 기지에 주어진 가장 큰 임무는 전 세계 석유 생산량의 4분의 1이 통과하는 주요 수송로인 이 해역에 대한 미국의 통제권을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지키는 것이다.
    이러한 아프리카에 대한 새로운 전략 구축과 함께 2009년 1월에 취임한 오바마 신정부는 부시 전 정권에 의한 대 아프리카 전략을 기반으로 아프리카에 대한 개입을 전략적이면서도 포괄적으로 이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초록

    Since the Cold War, the U.S. has made a significant strategic change towards Africa. During the Cold War, under the pretext of preventing the communist government of the Soviet Union from gaining access to African counties, the U.S. gav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supports to African countries that were friendly with the U.S.
    However, since 1990, U.S. aid to Africa has declined rapidly due, in part, to the priority of Eastern Europe; during that time, U.S. strategy for Africa was modified politically, militarily and economically.
    The U.S. strategy for Africa has seen further changes since 2000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oil, natural gas and mineral resources prices and the weakening of the U.S. influence over the Middle East. Especially, with the rapid expansion of China’s influence over Africa, it was inevitable for the U.S. to change its strategy for Africa to keep China, the potential rival country, in check.
    On February 6th, 2007, the Bush administration also announced that it would establish U.S. AFRICOM(United States Africa Command) to control the entire African continent as a new regional integration army. Through this announcement he stated that he would unify the U.S. military residents, engage in Africa expansively and develop the African counties’ abilities to cope with their own security problems through U.S. AFRICOM, which was founded October 1st, 2008. This was another way for the U.S. to express a new strategy for Africa.
    The new government of Barack Obama Jr., appointed in January 2009, is expected to deploy comprehensive foreign policy initiatives with Africa based on the African policy of the former Bush administration. Such resent proactive movements in U.S. strategic policies for Africa, reflects tha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Africa in the U.S.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fact that this is a strategic time for the U.S. to be aware of the Africa situation by providing an overview of the strategic policies of the Bush administration concerning Africa and, lately, the initiatives of the new Obama administration regarding its strategy for Afric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지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