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초 북한의 대미 인민외교 연구 (Study on North Korea’s People’s Diplomacy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1970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5
38P 미리보기
1970년대 초 북한의 대미 인민외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연구 / 25권 / 1호 / 43 ~ 80페이지
    · 저자명 : 손주희

    초록

    북한은 상대국 ‘인민’을 활용하여 비정부 수준의 접촉을 도모하는 인민외교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북한 인민외교의대상은 상대국 인민(국민)이었다. 이와같은 비정부 차원의 접근은주로 조선노동당 국제부와 당의 지도를 받는 당외곽 조직인 대외문화연락위원회, 각국의 친선협회, 김일성연구소조, 연대성위원회등 당 외곽단체에 의해 전개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인민외교 접근 시 1단계에서는 조선노동당 국제부의 지도 하 상대국의 정당과 교류하여 상대국과 상호 친선단체를 조직하였다. 2단계에서는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등 당 외곽단체를 앞세워 비정부 수준의 대표단을 파견하여 경제ㆍ문화 교류를 도모한후 경제ㆍ문화 협정 등을 체결하였다. 3단계에서는 민간무역대표부 및 공보관 등을 개설하는 단계를 거쳐 전개되었다.
    결국, 북한이 인민외교 방식을 수행하여 달성하고자 한 목표는, 첫째, 미수교국의 경우 정부 차원의 교섭 시작 전 상대국 인민들과의 문화ㆍ경제 교류를 도모하여 상호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정부 차원의 직접 교섭 시 자신의 외교적목표를 관철하고자 하였다. 둘째, 경제적 실리 확보를 위함이었다. 셋째, 김일성연구소조 및 연대성위원회를 통해 김일성노작에 대한학습 전파와 주체사상을 선전하고자 하였다.
    1970년대 초 북한은 적극적인 대미 인민외교를 전개하였다. 북한은 미국이 주도하는 제국주의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동시에 ‘자국과 평등한 입장에서 국가관계를 맺기를 원하며우호적으로 대하는 나라들과 친선관계를 도모하는 원칙’을 미국과의 관계에도 적용하는 실용적인 태도를 견지하였다. 이러한 북한의 이중적인 태도는 1970년대 초 대미 인민외교 접근사례에서도 확인된다. 북한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부를 주축으로미국공산당과 교류하여 미국 내 미국조선친선공보센터 등을 거점으로 활용하여 적극적인 대미 인민외교를 전개하였다. 결국, 주한미군 철수 분위기를 조성하여 이를 달성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는달성하지 못하였으나 미국과 정부차원의 교섭을 시작하는 계기를마련하였고, 미국 의회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소통채널에 확보하였으며, 북한주유엔옵저버 대표부를 대미 인민외교 창구로써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discourse on North Korea’s people’s diplomacy. North Korea adopted so called ‘people’s diplomacy’ to approach to the countries with no diplomatic relations.
    North Korea aimed at communicating directly with the foreign public or the people. Adopting a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North Korea promoted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s among the people of both countries. The short-term goal of North Korea’s people’s diplomacy was to form friendly relations between the people and the ultimate goal was to achieve its diplomatic strategies with the foreign country.
    The target of North Korea’s people’s diplomacy was not the government, but the ‘people’. North Korea flexibly set the diplomatic 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 and level of the counterparts. The main apparatus of North Korea’s people’s diplomacy were the International Department of the Worker’s Party of North Korea and the Committee of External Cultural Liaison, which w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under the guidance of the International Department of the Worker’s Party.
    North Korea actively sought options to strengthen relations with the people through various means of people’s diplomacy. North Korea’s people’s diplomacy was in general carried out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a good-will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in the country by interacting with the party to party interaction. In the second stage, a series of delegations were dispatched to promote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In the third step, a private-level trade representative and a a center of public information were formed. Through these stages, North Korea tried to achieve its diplomatic goals such as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through government-level negotiations.
    In the early 1970s, North Korea carried out a dual policy toward the US. North Korea maintained its hostile stance toward the US imperialism while it simultaneously applied a principle of maintaining good rel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that are friendly to North Korea.
    This dual policy toward the US was observed in North Korea’s people’s diplomacy. Through various means of People’s diplomacy North Korea attempted to attain the legitimacy in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the US and resolve issues of concerns arising from realpolitik including the withdrawal of US troops i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