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韓地域 출토 漢代 金屬貨幣와 그 性格 (Archaeological Implication of Ancient Chinese Coins Unearthed in South Kore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7.10
28P 미리보기
南韓地域 출토 漢代 金屬貨幣와 그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27권 / 101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경칠

    초록

    근래까지 남한지역에서 출토된 漢代 금속화폐는 17개소에서 半兩錢, 五銖錢, 貨泉 등 5종이 출토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오수전이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다. 출토는 패총유적의 경우가 제일 많으며, 내륙지역에서는 모두 분묘유적에서만 출토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한대 금속화폐의 유입 시기는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대가 일반적인데, 대개 이 시기는 한반도내에 설치되었던 낙랑군 등 漢四郡에 의해 漢文化의 확산이 가장 잦았던 시기의 역사적 배경을 하고 있다. 유입방법은 해로와 육상루트를 통해 유입되었으나 주로 교역해로상의 해상루트를 통해 유입되었다.
    화폐의 기능과 용도는 상품거래 수단의 교역 매개물, 威勢品, 부장품, 儀禮用, 傳世後 후대 廢棄, 청동기 제작용 原料 등 여러 가지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성격에 대해서는 화폐가 발견된 지점이 지역 정치체 집단의 중심지이거나 공반 유물상에서도 다른 위세품들과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아 상품거래의 경제적인 수단으로서 통용되기 위해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상위 또는 수장층을 중심으로 국한되어 위세품의 성격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당시에 화폐경제 사회가 아니었으므로 한대 금속화폐도 화폐로서 유통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점을 들 수 있겠고, 위세품은 화폐의 기능도 하였다. 따라서 남한지역에서 출토된 한대 금속화폐는 對外交流를 통해서 위세품의 성격으로 유입하여 각각의 용도로 轉用 또는 사용되었다가 후대에 폐기된 것으로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South Korea, five kinds of ancient Chinese coins, including Banlyang coin, Huoquan, and Wuzhu coin have been reported at 17 locations in South Korea, and the Wuzhu coin is the most common one in number. While most of these coins have been yielded from shell midden sites, all the coins reported from inland sites have been yielded from burial sites. In general, these Chinese coins had been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from the 1st century BC to 1st century AD when Chinese culture was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four Chinese Commanderies, in particular the Lolang Commandery. The Chinese culture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both sea and inland routes, in particular, through sea routes.
    Function and usage of the Chinese coins can be supposed as medium for exchange of goods, status symbol or prestige goods, ritual, hoards, burial furnishings, and raw material for bronze implement manufacture. Considering the locations of sites yielding them and associated artifacts however, the Chinese coins would have been functioned as prestige goods of high classes or chieftains rather than as medium for exchange of goods in economic sense.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monetary economy was not developed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it is difficult to suppose that these Chinese coins had been circulated as currency in the Korean Peninsula. In conclusion, these Chinese coins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as prestige goods had been functioned as diverse kinds of usages listed above and deposited as hoards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