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수왕대 고구려의 對中外交와 그 動因 (Goguryo’s Diplomacy with China Under the Reign of King Jangsoo and Its Cause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9
41P 미리보기
장수왕대 고구려의 對中外交와 그 動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1호 / 239 ~ 279페이지
    · 저자명 : 최일례

    초록

    본 논문은 장수왕대 외교의 방향을 살핌으로써 그에 부응했던 세력들을 설명하고 자 하였다. 장수왕대 對中外交의 추이는 크게 3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장수왕 전기는(즉위~27년) 남북조와 고르게 외교하였다. 장수왕 중기는(28~49년) 북위와 외교를 단절한 채 송과만 외교하였다. 장수왕 후기는(50~79년) 북위와 더 중점적으로 외교하였다.
    장수왕은 평양세력의 협력 아래 평양으로 천도하였고(427), 남북조와 고르게 외교하였다. 이후 북연이 멸망하자 북연민을 영입하였다(436). 이는 고구려의 전세를 강화하여 특히 백제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군사력이 되었다. 그러나 고구려가 북연민을 영입했던 사건은 한편으로는 북위와의 갈등을 초래하였다. 이후 고구려는 북위와 단절한 채 송과만 외교하였고 이 시기 신라가 고구려를 압박할 정도로 성장해갔다. 광개토왕의 남정 이후 고구려에 줄곧 종속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신라가 급기야는 실직의 들판에서 사냥하던 고구려의 변장을 살해하는 사건마저 발생하였다(450). 얼마 후 고구려는 신라의 북변을 침입하였고(454) 신라 또한 축성 등을 하면서 적극적인 공격태세를 갖추어 나갔다. 신라의 성장은 고구려 내부에서 대송외교에 반대하여 대북위외교를 지지하는 세력의 입장을 강화시켜 주었던 듯하다.
    이후 장수왕은 북위와의 외교를 재개하였고(462), 얼마 후 북위가 고구려에 국혼을 제의하였다(466). 비록 고구려와 북위가 국혼에 합의하지는 못했지만 이를 통해 친북위 세력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장수왕 60년을 기점으로 고구려는 북위에 보내는 공물의 양을 이전의 배로 하였고, 북위 또한 이에 대한 보답을 조금 늘렸다(472). 그런데 바로 이 시기, 개로왕이 북위에 보낸 국서에는 고구려 내부가 극도로 혼란했고 심지어는 권세있는 귀족과 호족들마저 숙청되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장수왕 50년 북위외교가 재개되었고, 점차 북위에 치중해가는 시기에 행해진 숙청이었던 점에서 외교정책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짐작하였다. 그러한 맥락에서 시기별로 차이를 보이는 장수왕대 對中外交의 변화는 대외적인 조건과 그에 대한 대응을 둘러싼 고구려내 귀족세력의 동향과 관계가 깊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rection of diplomacy under the reign of King Jangsoo in Goguryo and explained the relevant powers. The transitions of diplomacy with China at that time was roughly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In the early period of King Jangsoo’s reign(from his enthronement to his 27th year), Goguryo had a balanc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the middle period of King Jangsoo’s reign(from his 28th year to his 49th year),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stopped while that with the Song Dynasty was maintained. In the late period of King Jangso ’s reign(from his 50th year to his 79th year), it focused on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King Jangsoo moved the capital to Pyeongyang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powers there(427) and had equal diplomacy with both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n when North Yeon collapsed, he included its people in his country(436). This added military power to Goguryo and King Jangsoo could intensify pressure on the Baekje Kingdom. However, the strategy where Goguryo accepted people from the Northern Dynasty caused conflicts with the Northern Dynasty. Then Goguryo stopp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hile maintaining diplomacy with the Song Dynasty while the Shilla Kingdom grew and exerted pressure on Goguryo. After King Gwanggaeto invaded the South, Shilla, which had been subordinate to Goguryo, even killed commander of Goguryo who was hunting in a field(450). After a while, Goguryo invaded across the northern boundary of Shila(454) and Shila defended itself against this attack while constructing fortresses. It seemed that Shilla's growth reinforced the positions of powers who advocat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hile opposing diplomacy with the Song Dynasty.
    King Jangsoo resum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462) and after a while, the Northern Dynasty suggested a royal marriage to Goguryo(466). Even though they did not agree to the marriage, this confirmed the existence of powers friendly to the Northern Dynasty. With the 60th year of King Jangsoo's reign as a base, Goguryo doubled payments to the Northern Dynasty, and the Northern Dynasty also increased its returns(472). However, at this time, in a national letter King Gaero sent to the Northern Dynasty, it was written that the political atmosphere of Goguryo was in disorder and the nobility and powerful families were reformed. Unexpectedly,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as resumed in the 50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angsoo and in that the reform was performed in a period when diplomatic focus was inclined toward the Northern Dynasty, it is assumed that the reform was related with diplomatic policy. In such a context, changes in diplomacy with China under King Jangsoo’s reign were closely related with external conditions and Goguryo’s aristocratic tren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