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조대 活人署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 (The Perception and Management of the Office for the Saving of Peopl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8
32P 미리보기
영조대 活人署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79호 / 167 ~ 198페이지
    · 저자명 : 하명준

    초록

    이 연구는 영조대를 중심으로 활인서에 대한 인식과 운영의 실태를 살펴본 것이다. 영조 연간에는 활인서에 대한 인식을 담고 있는 두 가지 양상의 속담이 회자되었다. 하나는 ‘活人署가 아니라 殺人署’라는 속담이다. 활인서가 유명무실하여 사람을 살리지 못하고 오히려 사람을 죽이는 의료 기관이라는 의미를 담아 사용되었다. 또 하나는 ‘活人別提罷職’이라는 속담이다. 병자가 죽게 되면 활인서 별제에게 책임을 전가하여 파직시키는 일이 잦았기 때문에 죄가 없이 횡액을 당한 경우에 이 속담이 사용되었다. 이 두 가지 속담의 용례들은 당대의 활인서에 대한 시선과 인식이 단일하지 않고 다층적이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활인서는 도성의 전염병자를 전담해서 구료하는 기관이었으므로 전염병의 발생과 확산은 활인서의 존재 의의를 가늠케 하였다. 전염병이 불같이 일어나고 사망자가 속출하였을 때 조정에서는 어김없이 활인서의 무실함이 강조되고 ‘살인서’의 면모가 부각되었다. 그렇지만 영조대는 활인서의 운영을 정비하고 활인책을 강구함으로써 일정하게 의료적인 성과를 거두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활인서의 경험과 대책은 京外에서 한결같이 따라야 할 규례로 제시·계승되고 있었다.
    당대의 시각에서는 병막에 수용된 병자 중에서 절반 정도의 사망자가 발생하게 되면 조정에서 활인서를 설립한 뜻에 위배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를 감안하면 영조 연간에 운영되었던 활인서는 종래 ‘살인서’로 평가된 것과 같이 기능을 전혀 상실한 관서라고는 할 수 없으며, ‘활인’의 영역에서 절반 정도의 성공(혹은 실패)을 거둔 의료 기관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and management of the Office for the Saving of People (活人署), or OSP,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reign of King Yeongjo.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re were two phrases that was well-known to the contemporary people containing the perception of OSP at the time. The first phrase was that “the Office for the Saving of People is in fact an office that kills people (殺人署).” This saying reflects the recognition that OSP did not function as it was intended and rather became a medical institution that took lives, thus making it unworthy of its name. The second phrase was that “the special director of the Office for the Saving of People is dismissed from his position(活人別提罷職).” When patients died from disease, it was common for the special director of OSP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losses of lives and be dismissed from his position. Because of this, the saying was used when a person was unfairly treated or went through an unexpected disaster. These two examples display a multi-layered complex reception and perspective toward OSP throughout the period. During the reign of Yeongjo, some medical advancements were achieved due to the reorganization of OSP and taking measures to implement medical policies for saving lives.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a death toll of about a half of the accommodated patients in the quarantine station was believed to be against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Considering the perception regarding its function and purpose, we cannot assert that OSP had completely malfunctioned as done in previous studies and as was evaluated in its byname “an office that kills people.”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was a medical institution that had achieved about half a success (or failure) in the area of “saving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