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대기업의 채용패턴 변천과정과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삼성・현대・LG・SK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Process on Employment Pattern and Characteristics by the Period of Korea Major Enterprise - Focus on Samsung ⁃ Hyundai ⁃ LG ⁃ SK af)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2.12
26P 미리보기
한국 대기업의 채용패턴 변천과정과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삼성・현대・LG・SK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사연구 / 27권 / 4호 / 33 ~ 58페이지
    · 저자명 : 류동희, 이종구, 김홍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80년대 이후 한국 대기업들의 채용패턴 변천과정을 고찰하는 동시에 그 특성을 시대별로 비교분석하는 데 취지를 두고 있다. 대기업들의 채용패턴의 구성요소를 시대별ㆍ산업환경별ㆍ특성별로 분류하여 접근하는 동시에 이들의 발전과정과 시스템이 공채문화에 기여한 의의와 시사점도 함께 제시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80년대 이후 한국 공채문화를 주도해온 삼성(삼성전자)ㆍ현대(현대건설)ㆍLG(LG전자)ㆍSK주식회사 등이며 연구범위는 채용패턴의 구성요소인 전형방식ㆍ필기방식ㆍ면접방식ㆍ인재상 등으로 한정했다. 또한 채용패턴의 시대별 고찰기간은 공채문화가 형성된 80년대부터 2012년 9월, 현재까지로 했다. 지난 30여년동안 전개되어온 한국 대기업들의 채용패턴 변천과정과 시대별 특성을 비교분석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80년대 채용패턴은 대규모 정기공채에 적합한 기초지식평가와 단일면접, 보통형인재, 그물형 선발전형으로 집약된다. 90년대 채용패턴은 소수, 수시채용에 적합한 인적성검사의 출현과 복수면접, 특이형인재, 선별식 공채전형으로 집약된다. 2000년대 채용패턴은 다채널 상시모집을 통한 종합직무적성검사 실시와 다단계 역량면접, 디지털창조인 선발이 핵심을 이루고 있다.
    한국 기업사에 공채문화는 지금까지 단순정보로만 취급된 나머지 인적자원관리영역에서 소외당해왔으며 또한 학문적으로도 인정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학문화 시키는 노력도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공채문화의 핵심요소인 채용패턴의 시대별 변천과정과 특징을 학문적으로 체계화시키고 탐색하고 조명했다는 점이다. 이는 후행 연구자들이 취업문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필요한 사적 문헌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선행연구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80년대 이후 채용패턴을 학문적으로 체계화시킨다는 취지와 함께 향후 선진화 된 공채문화를 개발하고 유인하는 데 필요한 사적인 자료구축과 더불어 상위문화인 취업문화를 더욱 발전시키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또 다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employment pattern of major Korean companies after the 1980s by time series. This study includes components of the major companies' employment pattern which are categorized by periods, industri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while having an implication that their developing processes and systems have contributed to the recruiting culture.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Samsung (Samsung Electronics), Hyundai (Hyundai Construction), LG (LG Electronics), and SK Corporation which have led the Korean recruiting culture since the 1980's and the study range focuses on components of employment pattern, such as recruiting method, written method, interview method, and right people. The periodic consideration of employment pattern is from the 1980s, when recruiting culture was created, up to present da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nging process and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major Korean companies' employment pattern, which have developed for the last 30 years, are summarized below.
    The employment pattern in the 1980s is integrated by an evaluation of basic knowledge and single interview, normal right people, and web-recruiting model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large-scale regular recruiting. The employment pattern in the 1990s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personality-aptitude test, multiple interview, outstanding right people, and selected recruiting model which are suitable for small-scale irregular recruiting. The employment pattern in the 2000's features overall job-aptitude assessment, multistage capability interview, digital-creative right people through multichannel frequent recruiting.
    In the history of Korean companies, the recruiting culture has not received attention from the HRM field, treated as simple information. And there has been no effort to pay attention to it academically.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stress and to systematize academically the changing process and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employment pattern which are key components in the recruiting culture. This study can play an important and advanced role in supplying following researchers with an essential reference who will study on the employment culture. This study also regards it as meaningful to systematize academically the recruiting pattern since the 1980s, to collect necessary data for developing and leading a progressive recruiting culture, and to provide information in furthering the upper culture, the employment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