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代 江南의 염색업과 외지상인 (Dyeing Business and Traveling Traders in Jiangnan Region During the Qing Period)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06
23P 미리보기
淸代 江南의 염색업과 외지상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47권 / 33 ~ 55페이지
    · 저자명 : 민경준

    초록

    강남 지방 직물 - 견직물과 면직물 - 의 우수한 명성은 직조 전 또는 후의 숙련과 염색 가공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염색가공공장은 일반적으로 染坊이라 불렀다. 명대까지만 해도 외지인은 객상으로 활동하는 외에는 대부분 완성품의 유통 조직이나 상점 경영에만 참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청대가 시작되면서부터 이들 외지 출신 상인들이 직접 염색업에 투자하고 경영하는 사례가 증가하기 시작하고, 염색 노동자 중에도 외지 출신이 증가한다. 강남의 염색업에서 청대는 객상의 자본이 염색업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을 통해 생산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던 시대였다.

    영어초록

    During the Ming(明) and the Qing(淸) Period, the outstanding fame of fabrics such as silk and cotton from the southern region of Jiangnan(江南) was based on the dyeing processing as well as the skill involved before and after weaving. Silk dyeing developed in few small cities in the region of Jiaxing(嘉興) and Huzhou(湖州), including three main cities such as Nanjing(南京), Suzhou(蘇州) and Hangzhou(杭州). Cotton dyeing developed in Songjiang(松江) and Suzhou, and also in small cities around them. Each city was particularly famous for dyeing certain color. Nanjing was famous for dark black; Suzhou for deep blue; Zhenjiang(鎭江) for deep red, and Hangzhou for jade green.
    Dyeing processing factories were usually called ranfang(染坊).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cale or internal organization of the dyeing business due to lack of historical sources. Workers at a dyeing processing factory in a large city ranged from scores to hundreds. Even a factory in a small city had dozens of workers. In the Ming Period, most of the founders and workers of dyeing factories in each city of Jiangnan were natives. Occasionally, there were people from other regions like Nanjing and Zhenjiang among the dyeing laborers. Besides working as traveling traders, merchants from other regions, in general, were allowed to participate only in organizing distribution of finished products of managing stores. However, beginning from the Qing Period, cases of merchants from other regions getting directly involved in investing and managing dyeing business increased, so did the number of dyeing laborers from other regions.
    The increase of non-native workers in the silk dyeing business was more prominent in the large cities compared to small cities. For example, a native of Huizhou(徽州) established a dyeing factory in Shuanglinzhen(雙林鎭), when a native of Nanjing, Zhenjiang, or Jining(濟寧) found factories in Chengzezhen(盛澤鎭), and a native of Shaoxing(紹興) in Puyuanzhen(濮院鎭). These founders reinforced their trade with stores to which they were related and expanded their control over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Since the middle of Qing Period, Suzhou, in particular, started to obtain the competitive edge over its neighboring Songjiang, which had been the center of cotton textile industry until then, and became the new center of cotton textile distribution and dyeing processing. However, it was none other than the merchants from Huizhou who increased their investments in the dyeing business in Suzhou and came to dominate the distribution organization and dyeing processing of cotton textiles in the region.
    Thus, dyeing business in the Jiangnan during the Qing Period developed with the traveling traders who strengthened their control over the production by making direct investments to the dyeing bus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