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海東歌譜』(전북대 소장)의 性格 (The character of the “HaedongGabo(海東歌譜)”(possession of Chonbuk Universi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8.01
33P 미리보기
『海東歌譜』(전북대 소장)의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28호 / 229 ~ 261페이지
    · 저자명 : 권순회

    초록

    이 논문의 목표는 신발굴 가집인 『海東歌譜』를 학계에 소개하고 그 성격을 탐구하는데 있다. 『해동가보』는 전북대 도서관에 소장된 필사본 가집이다. 총116면으로 시조 163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가곡 한바탕 사설이 93수(남창 46, 여창 47수), <태평가> 1수, 시조창 사설이 69수이다. 이외에도 가사 5편과 판소리 단가로도 불렸던 <소상팔경>도 실려 있다.
    『해동가보』의 編制에서 가장 큰 특징은 가곡, 가사, 시조창 사설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해동가보』는 애초에 가곡 한바탕과 가사만 수록했던 것이 확실하다. 시조창 사설은 필체가 다른 것으로 보아 별도로 필사되어 추후에 합철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동가보』의 악곡의 중심은 가곡 한바탕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해동가보』의 가곡 이론이나 편가 체제는 『가곡원류』를 계승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해동가보』는 『가곡원류』의 이본 계열은 아니지만 『가곡원류』와 영향 관계에 있는 가집이 확실하다. 하지만 한바탕에서 중대엽이 배제되고 ‘환계락’이 포함된 점, 여창 ‘율당삭대엽’의 계면 변조 표시, 사설마다 記譜한 연음표 등에서 『해동가보』가 실제 가곡 연창 용도로 편집된 성악보집이라는 단서를 포착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사설에서도 확인된다. 『해동가보』는 창곡당 1-5수의 사설을 수록하였다. 이는 당대와 후대에 해당 악곡의 대표적인 노랫말로 사람들에게 인식되던 것이다. 여기에 연음표 등 다양한 음악 정보를 기보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우리는 『해동가보』가 수백 수의 시조를 정리한 사설목록집과 달리 대표곡을 중심으로 한 성악보집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성악보집은 그 주안점이 사설보다는 연음표 등의 악보 정보에 있다. 때문에 그 형태는 사설목록집과 다를 수밖에 없다. 대표 사설만 수록한 이유이다. 성악보집은 대개 가곡 傳習用 敎本, 혹은 소규모 가곡 모임의 연창 대본으로 편집되었다. 『해동가보』는 소규모 가곡 모임에서 소용된 연창용 성악보집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성악보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출현한 이유는 한바탕의 악곡 분화가 완료되고 각 악곡을 대표하는 사설군이 확립된 점과 특정 노랫말에서의 가변 선율을 지시하는 연음표라는 악보 양식의 개발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objects of this paper are introducing of the newly excavated collection of poems “HaedongKabo” to the academy and investigating of the character. The “ HaedongKabo” possessed by Chonbuk University is the copy of collection of poems. It has 116pages and 163 Sijoe(時調) are recorded on. There are Gagokchang(歌曲唱) 93 poems, Taepyeongga(太平歌) 1 poems, Sijochang(時調唱) 69 poems. Excepting them, there are also Gasa(歌詞) 5 poems and ‘Sosangpalkyong(소상팔경)’ which was sing of Danga(短歌).
    The biggest special feature of the “HaedongGabo” is that there are recorded Gagok, Gasa, Sijochang at once. But the fairly certain thing is that the “HaedongGabo” embodied Gagok a round and Gasa at first. The Sijochang's handwriting is different from others, so it is concluded that it should be joined later with separate copying. Therefore the focus of the HaedongGabo's composition can be placed at the Gagok Hanbatang(one round).
    The Gagok theory or Pyunka(篇歌) system(one round) of the “HaedongGabo” had been succeeded from those of the “Gagokwonryu(歌曲源流)”. In this point, the “HaedongGabo” is not a different version of the “Gagokwonryu” but it is certain that the “HaedongGabo” is the collection of poems which has some connection with the “Gagokwonryu”. But the exclusion of Jungdaeyop(中大葉) in Hanbatang(one round) and inclusion of Hawnkyerak(還界樂), the variation marks of woman's songs Yuldangsakdaeyop(栗糖數大葉), notating Yeoneumpyo(連音標) of every lyrics tell that the “HaedongGabo” is the singing score which was compiled for real singing purpose.
    Those character are identified in lyrics, too. The “HaedongGabo” embodied 1-5 lyrics per one musical piece. These are percieved as typical lyrics of familiar songs by those and later people. And musical information of pieces with Yeoneumpyo were notated in it.
    Through these facts, it is concluded that the “HaedongGabo” is not the hundreds of Sijo poems catalogue of arrangement but the singing score focused on representative music. In brief, the “HaedongGabo” is the script of singing which is referred for small scale song meeting or inheriting of Gagok on occasion.
    The essential point of the singing score is not lyrics but the musical information like Yeoneumpyo etc. So, that's form was exactly different from the words of a song catalogue. That's the reason why the “HaedongGabo” was recorded the representative Gagok. We can find the reason why such the singing score appeared in end of 19C to early 20C was that musical form, Yeoneumpyo, which indicated variable melody in specific songs appeared in th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